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실험용 핵융합로 재가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번 업그레이드는 유럽연합과 스위스 등 27개 나라 350여 명의 연구진들이 참여한 공동
프로젝트
로 진행됐다. 8만 6000개의 부품을 교체했고, 출력을 50%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했다. 핵융합은 플라스마 온도가 최소 1억℃가 돼야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온도를 높이는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통합 등 모든 기술이 잘 어우러져야 한다. 개발예산이나 개발기간도 만만치 않은 대규모
프로젝트
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천마와 신궁 개발 성공을 바탕으로 2000년부터 중거리 지대공유도무기 천궁 개발을 계획했다.5년의 연구 끝에 개발한 ‘천궁’은 기존의 호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이라고 말했다. HUPO회장인 캐서린 카스텔로 미국 보스턴대 의대 교수는 “인간게놈
프로젝트
로 밝힌 유전자 2만 300개 중 30~40%는 아직 기능이 무엇인지 모른다”며 “‘미완성 작품’인 유전자지도는 단백질 연구로 완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스텔로 교수는 “염색체 기반 인간단백질기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또 연구센터는 축 지방정부 수산국과 협력해 해양보호구역
프로젝트
를 하고 있다. 과거 중국의 원양어선들이 이곳에서 해삼을 싹쓸이해 갔다. 축 수산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려고 했지만, 경험이 없고 현지 주민들의 이해부족으로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일과 비슷하다. 이같은 인지 컴퓨터는 궁극적으로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데 쓸 수 있다.
프로젝트
리더인 IBM의 다멘드라 모다 박사는 “인간의 뇌를 역공학으로 분석해 마음을 재창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에 개발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두 개다. 하나는 262,144개의 프로그램 가능한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페이스북에 위협당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최대 SNS 사이트인 싸이월드는 2001년 미니홈피
프로젝트
를 통해 급성장했다. 사실 싸이월드는 페이스북보다 3년이나 앞선 SNS였으나 언어의 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세계화에는 성공하지 못했다.2007년 미국 애플사는 아이폰을 세상에 내놓는다. 애플 제품은 ... ...
중국을 넘어 세계로 가는 홍콩과기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학기에 1과목만 맡아 나머지 시간은 오로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
프로젝트
를 따기 위해 각종 제안서와 보고서 작성에 허덕이는 국내외 환경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홍콩과기대]국제도시의 이점을 잘 살린 캠퍼스홍콩과기대의 가장 큰 경쟁력은 국제 감각이다. 홍콩은 15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볼 수 있으며, 이를 달의 앞면이라고 부른다. 달의 뒷면은 아폴로
프로젝트
로 세상에 처음 알려졌다. 그 이전에는 달 뒷면에 월인(月人)이 살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아폴로15호는 레이저 고도계로 달의 뒷면을 관측해 지형도를 만들었다. 곧바로 달 지형도의 특성을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알 수가 없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우주먼지를 채집하려고 시도해왔는데 가장 유명한
프로젝트
가 바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스타더스트(Stardust)’ 미션이다.1999년 2월 8일 발사된 탐사선은 빌트2(Wild 2)로 불리는 혜성에 접근해 우주먼지를 채취해오는 임무를 맡았다. 스타더스트호는 5년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분석하는 일은 많은 과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밤낮으로 연구해도 몇 년씩 걸리는 대형
프로젝트
다. 게놈 신분증을 받는 생물은 어김없이 최고 권위의 과학학술지인 ‘사이언스’, ‘네이처’ 표지에 얼굴을 싣는다. 이것이 바로 이 연구가 어렵다는 증거다. 이곳에서 직접 실험하며 게놈 신분증을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