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 과학자 하나로 묶는 여름 축제과학동아 l2007년 09호
- 1세 학생들이 2주 동안 참가하는 런던국제청소년과학포럼(LIYSF)은 국제적으로 이름난 청소년 과학캠프다.올해로 49회째를 맞은 이 행사는 과학의 당면 문제와 미래의 발전 방안을 함께 모색하자는 취지로 설립됐다. 리처드 오케네디 LIYSF 의장은 환영축사에서 “이제는 과학을 더 이상 한 국가에 ...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보호해야 한다. 우선 1997년 여러 나라가 약속한 교토 의정서대로 선진국들부터 2012년까지 공장과 자동차에서 나오는 온실기체를 줄여야 한다. 한국은 의무적으로 온실기체를 줄여야 하는 나라는 아니지만 온실기체 배출 10위국으로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내보내는 ...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그것이 서로 충돌하며 교차하는 두 개의 나사선성운임이 확인되었다태양계에서 약 111광년의 거리에 있는 최근성(最近星)의 하나 실시연성(實視連星)이며 84AU 떨어진 태양의 반 정도의 질량을 가진 적색왜성으로 약 750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백조자리 61번성은 1792년 당시부터 주목되었다 1976년 ... ...
-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과학동아 l2007년 09호
- CO2 Song)를 부르며 지구온난화를 막는 환경운동에 동참하자고 호소했다. 캠프를 마친 청소년 기후대사들은 앞으로 각종 환경캠페인에 참여해 북극에서 체험한 지구온난화 현장을 증거하며 1.5℃ 다운 의정서를 널리 홍보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1.5℃ 다운 의정서1. 에너지 절약 : ...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않아 빛이 나오지 못하는 고온?고밀도 상태에서도 빠져나올 수 있다. 빛은 빅뱅 후 30만년이 지나야 관측할 수 있는 반면, 중력파는 빅뱅 후 ${10}^{-43}$초부터 나온다. 중력파만 관측할 수 있다면 태초의 우주를 들여다볼 수 있는 셈이다. 물론 중력파 검출의 열쇠는 중성자별이 쥐고 있다 ... ...
- PART1 수학을 알면 돈이 보인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어 특정금리와 약정기간을 가진 금융상품으로 발전했다. 특히 1970년대에 접어들자 다양한 파생금융상품이 등장했다. 경기변동에 민감한 금리, 환율, 주가, 상품을 기초자산? 으로 정한 뒤 미래가치를 예상하고 그 가격을 현재가치로 바꿔 상품을 만드는데, 경제활동에서 ... ...
- 거꾸로 굴절하는 빛, 법정에 서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음의 굴절률을 갖고 있어서 각각의 렌즈는 회절한계보다 작은 크기를 볼 수 있습니다. 2007년에는 미국 UC버클리 시앙 장 교수팀이 은으로 만든 메타물질을 이용해 150nm 크기 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 렌즈를 만들었는데, 이 친구는 ‘사이언스’지에 소개되기도 했죠. 과학자들은 우리를 ... ...
- 수술 중 깨어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부족한 편이다.미국 스탠퍼드대 정신과 교수였던 어니스트 힐가드는 1955년부터 1974년까지 최면마취를 이용한 수술 25건을 분석해, 무작위로 뽑은 환자의 10%가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고 최면마취로만 수술을 받았다는 결과를 1977년 학계에 보고했다. 미국의 최면요법 전문가인 크레이그 랑 역시 1996년 . ...
- 여인의 초상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받고 이렇게 소년과 로봇을 나란히 그리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게다가 대통령은 소년이나 로봇이 아닌 자신을 거울이라고 했다면서요? 퇴행하고 있는 게 확실합니다. 세상의 모든 걸 담는, 그러니까 세상 만물이 될 수 있는 마법 거울이라도 갖고 싶은 모양입니다.” “그게 그렇지 않아요. 래빗은 ... ...
- 과학 선생님께 희소식! 간편하고 안전한 과학실험 SSS 키트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있는 과학교육이 어려운 것은 당연한 일. 사실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래서 1997년부터 유네스코와‘국제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실험 세트를 개발하고 보급했는데, 이것이 바로 SSS 키트다. 현재 40여개의 국가에서 SSS 키트를 사용하고 있다. 유네스코와 세계적으로 ... ...
이전1415141614171418141914201421142214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