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계"(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과학동아 l1993년 07호
- 눈에 보이는 태양의 표면을 광구(光球, Photosphere)라 하는데 지구의 표면처럼 뚜렷한 경계가 있는 것이 아니고 두께가 약3백-4백km 정도이다. 태양복사의 대부분이 여기서 나온다.광구의 바깥쪽, 약 8천-1만km까지 퍼져있는 기체의 층을 채층(彩層, Chromosphere)이라고 하는데 광구보다 밀도가 희박하고 매우 ... ...
- 3차원 입체 영상의 마술과학동아 l1993년 07호
- A B C D E의 패턴이 있다고 하자. 오른쪽 눈으로 B와 C의 경계선을, 왼쪽 눈으로는 C와 D의 경계선을 주시하면 그림과 같이 좌우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패턴의 정보는 좌우 한쪽 만큼 어긋나게 된다. (a b c d 와 b'c'd'e'). 이 한 패턴 만큼 어긋난 정보가 입체사진의 좌우의 화면에 해당하는 두개의 화면이다. .. ...
- 슈퍼컴퓨터로 초대륙 판게아의 해체 모습 재현과학동아 l1993년 07호
- 바다쪽 판 경계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한다. 판이 스며드는 과정이 진행됨과 함께 판 경계는 대륙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후퇴하면서 대륙을 바다 쪽으로 이끈다.한편 맨틀 아랫쪽에 침투한 식은 판은 고온의 맨틀물질을 밀어내는데, 바로 이것이 고온 맨틀물질의 용승류(湧昇流)를 일으켜 열점(熱点)을 ...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과학동아 l1993년 06호
- 그 모습을 빛낸다. 잘 살펴보면 그 주위가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경계에는 카르파티아 산맥이 마치 밀려오는 파도 모습을 하고 있다.전체적으로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지름 46km의 아리스타르쿠스 크레이터는 지구의 그늘에 들어가 있을 때도 보일 정도로 가장 밝은 빛을 낸다 ... ...
- 하늘에서 본 한국의 산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있다. 작은 금강산이란 뜻의 소금강은 비로봉 동쪽 기슭에 위치한다.경상북도와 강원도 경계 지점에는 태백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기점으로 소백산맥이 갈라져 내려온다. 소백산맥의 특징은 남서쪽으로 내려올수록 석봉 중심의 석산(石山)에서 풍화토로 이루어진 토산(土山)의 특징을 갖고 ...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인상을 받기에 충분하다.처녀자리은하단 중심부에서 한참 아래로 내려와 까마귀자리와 경계를 이루는 곳에는 처녀자리에서 가장 훌륭한 은하가 자리잡고 있으니 그것이 M104다. 은하중심부를 양분시키는 암흑대의 현저한 모습 때문에 솜브렐로은하로 알려진 M104는 우리의 시선 방향에 자신의 옆면을 ...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5호
- 틈새로 분출된 용암의 줄이다.유명한 직선 절벽과 같이 바다의 수평면에 급격한 불연속 경계선이 생기는 것은 단층의 결과로 생각된다. 가끔 침강된 구덩이의 선을 잇는 직선 열구는 단층이나 파쇄구조를 따라 발달하고 있다.얼핏 생각하면 만월에는 한꺼번에 월면의 모든 부분을 골고루 볼 수 ... ...
- 크낙새과학동아 l1993년 04호
- 크기는 24.5×22.5㎜로 달갈의 절반쯤 된다. 연 1회 산란하며 포란 일수는 17〜20일, 이때 경계심이 대단하다. 2시간 간격으로 교대해 포란하는데 수컷의 포란시간이 길다. 새끼는 2~3주 사이에 매일 13g씩 체중이 늘고 1개월이 되면 둥지를 떠나 독립한다. 어린 새끼도 수컷은 두상의 붉은 털이 눈부시고 ...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과학동아 l1993년 04호
- 있지만 매우 밝고 오래 지속되는 유성우다. 복사점은 거문고와 헤라클레스 자리의 경계에 있다. 복사점이 매우 밝은 별인 베가(직녀별)의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유성우의 시발점을 찾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아마도 이 유성우틑 관측하기 가장 좋은 시간은 지방시로 23시 이후가 될 것이다 ...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장애가 있어서 쉽게 위치를 느끼고 확인할 수 있으나 모음은 장애를 받지 않아 소리의 경계가 분명치 않고 조음점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분석하기가 더 어렵다. 모음은 혀의 높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의 세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혀의 높이는 턱과 혀가 열린 정도로 알 수 있는데, 열린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