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시"(으)로 총 2,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중교통 정복기수학동아 l2010년 07호
- 1~200km까지 1km당56.77원으로 계산한다. 201~400km까지는 50.24원, 401km를 넘으면 45.87원이다.각 도시까지의 거리를 찾아보니 대전은 153.2km, 광주는 290.8km, 부산은 384.3km다. 대전은 200km를 넘지 않으므로 (153.2km×56.77)=8697원이다.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정확하게 870 ...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정십이면체의 각 꼭짓점을 도시로 각 모서리를 오가는 길로 생각한 뒤, 길을 따라 도시를 단 한 번만 지나는 여행 코스가 있는지 알아 내는 문제를 냈다. 이 문제는 변을 한 번만 지나는 한붓그리기와 달리 점을 한 번씩 지나는 문제다. 해밀턴의 문제 역시 정십이면체의 20개의 꼭짓점과 30개의 ... ...
- 세상만사 둥글둥글수학동아 l2010년 07호
- 같을 때 넓이가 가장 큰 도형이랍니다. 디도 공주는 원 모양의 땅을 확보해서 그 땅에 도시국가인 카르타고를 건설했어요. 나중에 로마와 전쟁을 벌일 만큼 힘있는 나라로 발전했지요. 소 한 마리로 국가를 세운 디도 공주의 지혜가 놀랍지 않나요?원의 둘레와 π의 발견선생님 : 신기한 도형 원에 ... ...
- 빛은 변덕쟁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7호
- 그린 그림에서도 알 수 있어요. 1870년대 프랑스에는 수도 파리를 중심으로 중요한 도시와 지방을 연결하는 1만 7000㎞ 길이의 철도망이 연결돼 있었어요. 그 중 가장 크고 사람도 많이 다니는 기차역은 ‘생 라자르 역’이었지요. 모네는 1877년 생 라자르 역을 시작으로 12점의 기차역 그림을 그렸어요 ...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내년부터 시작해 2020년에 완료된다고 하니 그때쯤이면 이 도로를 달리면서 도시와 호수, 그리고 바다를 동시에 구경할 수 있을 것 같다.모래로 더 단단하게 짓는다?규모와 경치에 감탄하다 보니 금세 3공구사업소에 도착했다. 방조제는 지어진 순서대로 1공구부터 4공구까지 네 부분으로 나뉘는데, ...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흐흐, 내가 자기랑 사귀면서 데이트 코스 알아보느라 조사의 왕이 됐잖아). 친환경 도시로 알려진 스웨덴 예테보리에서는 가축 분뇨에서 얻은 메탄가스로 난방을 하거나 자동차를 운행한대. 대단하지? 우리나라에서도 농촌진흥청이 1998년부터 가축 분뇨로 액체 비료를 만들고 전기를 만드는 시설을 ...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지역을 다녔지만, 잉카의 고향인 마추픽추와 쿠스코가 기억에 많이 남아요.하늘 위의 도시 마추픽추에 오르다!마추픽추는 옛 잉카의 신전 유적으로, 해발 2430m 지점에 위치해 있어요. 높은 지역에 있기 때문에 위험해서 하루에 400명밖에 들어가지 못해요. 아빠와 저는 새벽 4시에 일어나 거의 ... ...
- 지진과 쓰나미 속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하지만, 지진 규모에 비해서는 여전히 피해자가 적은 편에 속해요. 지진 발생지가 도시에서 멀었던 이유도 있지만, 지진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평소에 철저히 대비를 했기 때문이에요. 건물과 도로, 다리 등의 시설물을 지진에 견디도록 짓는 등, 지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안전 수칙 덕분이랍니다 ... ...
- 인터뷰 공룡전문가 이융남 박사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최고의 환경이죠.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중생대층은 숲과 나무로 덮여 있고 도시가 발달해 넓은 지층을 볼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요. 그래서 공룡뼈 찾기도 힘들답니다. 공룡 화석을 찾기 위해서는 지층이 넓게 펼쳐져 뼈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 좋거든요. 그래서 몽골의 고비사막같이 ...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지난 60년을 이렇게 정리했다.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남서쪽으로 20km 떨어진 학술도시 레호보트에 위치한 바이츠만연구소(사진). 이스라엘 기초과학의 요람이자 세계적인 연구소다. 1934년 초대 대통령 하임 바이츠만이 창설한 농업연구소를 1949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며 출범했다.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