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음"(으)로 총 4,591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는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게 됐죠. 이를 테면 나는 모자를 마음대로 쓰고 벗을 수 있지만 당신은 절대로 그 낡은 비니를 벗지 않잖아요. 실내에서든, 바깥에서든. 그리고… 당신도 소문은 알고 있죠? 당신들은 모자를 벗으면 죽는다는 소문.”윤환은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아이들이 주인공인 거꾸로 교실은 다양한 수업 활동이 가득하다. 철옹성 같던 아이들의 마음을 움직인 활동은 어떤 것이었는지 살펴보고, 활동 개발에 숨은 뒷이야기도 들어 보자.거꾸로 교실 인기 게임지난 호에 소개한 ‘삼각비 땅따먹기’ 게임은 수업에 시큰둥하던 학생들에게도 효과가 있었다.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정리하는 셈이다. 또한 낮 동안 온몸에 쌓였던 피로와 스트레스가 사라지고, 몸과 마음이 재충전되는 시간도 바로 이때다.전문가들은 날마다 쌓인 피로를 풀고, 일이나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 하루에 7~8시간 정도는 잠을 자야 한다고 강조한다. 잠을 잘 만큼 자면서 어떻게 벼락치기를 할 수 있을까?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년 전 어느 봄날이었다. 김민수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학교에서 매주 개최하는 융합세미나에 참석했다. 다른 전공 교수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세미나여서 부담 없는 시간이었다(게다가 점심까지 해결할 수 있었다!). 이날 주제는 ‘후각수용체와 그 활용’. 구재형 ... ...
- [특별 인터뷰]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 푹~! 이봉주 선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보게 됐죠. 그땐 우리 아이들이 너무 어려서 강원도 삼척에 사는 조카들에게 보내 줄 마음으로 정기구독을 신청했죠. 그런데 제가 주소를 잘못 쓰는 바람에 그만 우리 집으로 책이 오기 시작한 거예요. 책을 받아본 아이들이 너무 재미있게 보길래 그때부터 구독하게 됐답니다.우연히 시작했는데, ... ...
- [공모전] 우리 문제는 우리가 해결한다!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결합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해 실제로 작품을 만들었어요. 과연 어떤 작품이 심사위원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요?세바소의 ‘사랑은 보인다’대구 대성초 5학년 곽민곤, 오유찬, 임민서, 정인철 학생은 세바소(세상을 바꾸는 소프트웨어)팀으로 뭉쳤어요. 세바소는 젖병에 분유와 물을 채우다가 젖병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들어졌지요. ‘분(噴)’에서 ‘구(口)’ 대신에 마음을 뜻하는 ‘심(忄)’을 붙이면 마음이 끓어올라 ‘분하다’는 뜻의 한자 ‘분(憤)’이 된답니다.한편 ‘출(出)’은 ‘나타나다’의 뜻을 가졌어요. 식물이 땅 위로 나는 모양을 본떠서 만든 상형문자랍니다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공평하게 나누는 건 쉽습니다. 한 명이 케이크를 둘로 나누면 다른 한 명이 그 중에 마음에 드는 한 조각을 가져가면 됩니다. 만약 백설공주가 케이크를 자르게 된다면, 아마 최선을 다해 두 조각의 가치가 같도록 만들 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심술이가 더 좋은 조각을 가져갈 게 당연하니까요.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다. 처음에는 북한에서 왔다고 얘기해주지 않았지만 가까워지자 마음을 열고 이 사실을 알려줬다. 사실 말투로 인해 이미 눈치를 채고 있었고, 편견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한 학기를 함께 공부하면서 우리가 전혀 다르지 않다는걸 깨달았다. 북한에서 왔으니까 다를 거라는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어떻게 보면 당연한 운명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대한 오래, 변함없이 지켜주고 싶은 마음에 과학자들이 나섰다. “여기가 ‘깔딱 고개’예요. 여기만 넘으면….” 앞서가는 사람의 응원은 바람소리에 묻혀 잘 들리지 않았다. 독도 서도의 깎아지른 절벽. 168m 정상까지 이어지는 계단은 경사가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