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중요했다. 김 씨는 마지막으로 후배들에게 이렇게 당부했다. “여유를 가지고 취미를
발전
시켜 나가는 것이야 말로 자기개발이라고 생각합니다. 게임 같은 취미도 상관없는 것 같아요. 물론 중독 수준에 이르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지만요. 가장 중요한 점은 항상 여유를 가지면서도 그 자리에 머무는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통해 그분의 생각을 읽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한 가지 분명한 건 나라의
발전
을 위해 무엇이든 배우고 익히려는 마음가짐을 가진 분이었다는 겁니다. 그것이 결실을 맺어 오일러를 앞지르는 결과를 내지 않았을까요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환산 계수가 과거 대회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다. 과거 결과를 이용하면 장비의
발전
과 현재 경기장 상태를 반영할 수 없다. 스키는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눈 상태와 산 모양, 날씨 같은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이는 특정 장애 유형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 ...
[과학뉴스] 평창 하늘 수놓은 1218대 드론 군무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수 있었다”며 “경기장에서 선수들이 경쟁을 펼치듯, 드론 기술도 계속해서 경쟁하며
발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 팀장은 “국내 군집 비행 기술은 인텔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슈팅스타와 같은 드론 쇼를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기본 방향”이라고 밝혔다. 김승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명예교수는 “우주산업의
발전
에 있어서 정부의 지원 규모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가 우주개발에 관심을 가질 만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초기 단계부터 민간 이전을 고려해 개발을 진행해야 향후 민간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나이가 들면 시험 점수보다 더 긴장되는 ‘성적표’를 받게 된다. 바로 건강검진 결과다. 수많은 항목 중 가장 다양한 결과가 표시된 부분은 혈액 검사다. 최근 ... 수 있다”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질병 진단 기술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검출 기술의
발전
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장점도 있다. 이 교수는 “아직 상용화하기에는 효율이 낮지만, 높은 색 순도와 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하면 미래 디스플레이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
정보화 사회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구애받지 않고 컴퓨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급속한 정보기술의
발전
은 이전 사회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우선 시공간으로 한정된 물리적 공간을 뛰어 넘는 가상현실 또는 가상공간의 등장으로 인간의 생활공간을 확장시킨다. 아울러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제출한 서류와 제시문 기반의 출제 문항(다면 문항)을 통해 지원계열에 대한 적합성,
발전
가능성,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정성평가 한다. 이 때, 1단계 종합서류평가에서 기본적인 학업 역량 확인이 요구된 지원자에 한해서는 교과별(수학·과학 문항) 관련 출제 문항을 제시해 평가한다. 다음은 201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영하 196도의 차가운 공간에 잠들어있다. 저마다 사연은 달라도 소망은 같다. 의학기술이
발전
한 먼 훗날 다시 깨어나 새로운 삶을 찾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은 이들에게 ‘제2의 인생’을 선물할 수 있을까. 인간의 죽음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심장이 기능을 멈추는 ‘생물학적 사망’과 자신이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