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3호
- 것도 가져올 수 없게 되면 지게 된다.이제 베스킨라빈스 31 게임에서 이기는 법을 알아보자. 두 명이 게임을 할 경우, 자기가 30을 말하려면 상대방이 27을 말하게 해야 한다. 즉, 내가 부르는 수의 끝이 26이 돼야 한다는 얘기다. 또 26을 말하려면 22를 말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결국 ... ...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수학동아 l2013년 03호
- 감정과 로미오의 감정변화, 줄리엣의 감정과 줄리엣의 감정변화로 미분방정식을 세워 보자. 여기서 미분방정식이란 연속적으로 변화는 양과 변화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방정식으로, 현재 시점에서 변화를 분석하면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매개변수★ 두 개 이상의 변수 ... ...
- [W5 코드 브레이커] 치환 암호의 꽃, 비즈네르 암호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이 암호키를 모르면 암호를 해독할 수 없다.예를 들어 마수리가 찾아낸 암호 LUAPY를 살펴 보자. 각 철자는 저마다 다른 규칙으로 암호화 돼 있다. 즉, 다섯 글자의 암호키를 알아야 각 글자를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다. 여기서 마수리가 찾 아낸 암호키는 YUNGU다.암호키를 적용해 암호를 해독하는 ...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빙하가 녹으면서 풀려난(?) 미생물이 과연 생태계에 위협을 줄 수 있을지 함께 파헤쳐 보자.30만 년 된 빙하에서 나온 박테리아고산지대나 극지방에 생성된 빙하는 얼음이긴 하지만, 물이 얼은 것이 아니라 눈이 얼은 것이다. 눈이 녹지 않고 계속 쌓이면 아래에 깔린 눈은 위에 쌓인 눈의 무게로 ...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기자가 일하는 회사의 구내식당 점심시간. 메뉴를 보자마자 한숨이 나온다. 한식과 일품 요리 두 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한식은 돼지고기를 넣고 끓인 뚝배기 ... 큰 문제다. 그러니 채식을 하는 사람도, 채식을 한 번쯤 꿈꾸는 사람도 꼭 낯설게 따져보자. “채식, 정말 몸에 좋을까 ...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고고도 무인정찰기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우선 항공기가 운항하는 고도를 살펴보자. 지상에서 1.5km (5000피트) 상공까지를 초저고도, 6km(2만 피트)까지를 저고도, 다시 13.7km(4만5000피트)까지를 중고도, 그 이상을 고고도라 한다. 6~13.7km인 지역은 국제선 항공기 등이 육안이 아닌 계기판을 통해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상당한 양의 수증기가 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이제 반대로 태양에서 먼 쪽으로 가 보자. 화성에는 이미 탐사로봇이 여러 대 착륙해서 물의 존재를 조사했다. 마침내 2008년 화성에 착륙한 NASA의 탐사선 피닉스가 토양 표본을 가열해 수증기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해 착륙해 현재 활동 중인 ... ...
- 이과 갈까 문과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원하는 학과가 어떤 계열인지 확인하면 계열을 선택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계열을 정해보자!자, 이제 ‘과연 나는 어떤 계열을 선택해야 할까’가 문제일 것입니다. 인문과 자연의 큰 틀은 성격이 너무 다른 길이기 때문에 신중히 잘 선택해야 합니다. 학과는 나중에 원서 쓸 때 바꿔도 큰 무리가 ...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없이 적합하다.공중전이 일어난다면 어느 쪽이 더 셀까처음의 질문으로 다시 돌아가 보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만약에, 무인전투기와 유인전투기가 공중에서 서로 맞붙는다면 어떻게 될까. 현재로선 유인전투기가 무인전투기에게 백전백승 할 것 같다.앞서 말했듯이 아직까지 무인전투기는 ... ...
- 용의자 X의 수학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가설이 사실임이 확인되었다.수학은 난제 풀기의 역사이 영화를 수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한마디로 ‘난제를 푸는 것’이다. 즉 수학적인 난제처럼 보이는 알리바이를 만들어 놓고 이를 형사가 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스포일러를 살짝 섞으면 엉뚱하게 풀게 하는 것이다.이쯤 되면 유명한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