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자연계
d라이브러리
"
생태계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중)고교 과학교사들에게 생생한 현장탐사의 기회를 제공해온 '전국고교교사 자연
생태계
학습탐사'가 지난 8월13일부터 17일까지 화산섬의 보고인 울릉도에서 실시됐다.'과학동아'와 '동아문화센터'가 공동주최하고 주식회사 '쌍용'이 후원해 9회째를 맞는 이번 탐사에는 전국 시·도별로 한사람씩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하지만 도리어 자체 시스템을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했다. 즉 하나의 완전한
생태계
가 형성된 것이다.그러나 지구상에 낙원은 없듯이 실리콘밸리에도 그 첨단문화 아래에는 엄연한 갈등구조가 놓여 있다. 국제적인 스파이조직, 뿌리 뽑히지 않는 암시장, 미소간의 소비적인 감시체계 등 여러가지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바뀌기 때문에 생긴다. 즉 빗물속의 수소이온농도(pH)가 5.5 이하이면 일반적으로 우리의
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주는 산성비로 간주한다. 산성비의 주범은 아황산가스(${S0}_{2}$)다. 그래서 미국 의회에서는 약 1천만t의 아황산가스 발생을 줄인다면 지구의 대기온난화현상을 막는데 크게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생물은 자신의 생태적 지위에 알맞게 진화, 종의 분화를 다채롭게 일으키고 복잡한
생태계
를 구성하게 된다.생물성쇠의 내력 즉 생물 다양성의 역사는 매우 오래됐기 때문에 각 지층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화석을 통해 그들의 과거지사를 추적 할 수 있다. 모든 생물종은 그 수명에 한계가 있다. 그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생성된 산소분자가 자외선을 받아 오존분자를 만들어냈기 때문이었다. 오존층은
생태계
에 해로운 자외선을 막는 방패역할을 함으로써 식물이 더 무성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이때부터 식물은 그늘진 곳이나 습지로부터 탈출, 가시광선을 많이 받으며 살 수 있는 밝은 곳으로 나오기 ... ...
동물학대와 국민의 비과학성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제는 심산유곡에 가도 뱀이나 개구리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고 보면, 그 피해는
생태계
전반에 미치고 있다고 봐도 지나치지 않다. 최근 쓸개즙을 빼내기 위해 곰에게 끔찍한 가혹행위를 서슴지 않는 장면이 TV화면을 통해 방영돼 수많은 사람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국회에까지 그 문제가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생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습지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하천유역을 습지
생태계
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렇게 계산된 오키펀오키 집수역(集水域)은 약 3천9백25㎢로 제주도 면적의 2배나 된다. 습지에는 15개 하천이 유입하고, 스와니강 세인트 메어리강과 사이프리스천이 흘러 나가고 있다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도서지역의
생태계
는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쉽게 흔들릴만큼 취약하다.울릉도에 까치가 방사됐다.경상북도 도청에서는 지난 연말 34마리의 까치를 ... 울릉도 까치 방사도 마찬가지다. 하나는 죽이는 것이고 하나는 살리는 것이지만 둘다
생태계
를 이해하지 못한데서 비롯된 행동이다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버리고 신사고(新思考)를 정립해야 될 때라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서 지구 전체를 하나의
생태계
로 간주하고 오염문제를 지구적인 차원에서 통일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각각의 오염물질에 대한 독성영향보다는 복합오염 내지는 만성독성을 중요시 해야 할 것이다.이처럼 복합적이고 만성적인 독성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일군의 과학자들은 89년 전세계적해양유동연구모임(JGOFS)을 결성하고 해양의 물리 화학
생태계
변화를 추적하기 시작했다.이들이 처음 조사를 시작한 곳은 북극과 그 일대의 바다. 이곳에는 해마다 5,6월경에 몇주동안 플랑크톤의 수가 평소보다 2~3배 많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 대기중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