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왼쪽부터 덩컨 홀데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 작년 노벨상 발표를 앞둔 10월 초, 필자는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데이비드 사울레스(미국 워싱턴대 교수)-덩컨 홀데인(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찰스 케인(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 이렇게 세 명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싸움이 끊이지 않는 침팬지와 달리, 보노보침팬지(이하 보노보)는 평화로운 ‘에덴동산’을 구축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필자가 찾은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다 윤택한 자연환경, 알아차리기 어려운 발정기, 암컷 위 주의 사회, 성(性)적 놀이 문화, 그리고 콩고 강이 제공한 자연 장벽 등이다.먹이 풍 ... ...
- [가상인터뷰] 깃털색에 숨겨진 새매의 사냥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대표 귀염둥이 마녀, 일리야. 간식 먹는 걸 가장 좋아하지. 하지만 집사 푸푸가 건강을 관리해야 한다며 간식을 다른 곳에 숨겨두는 바람에 매일 매의 눈으로 간식을 찾고 있어. 아, 내게도 새매처럼 좋은 눈이 있었으면 간식을 쉽게 찾을 텐데….그런데 새매의 사냥 비법이 깃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눈앞에 보이는 문을 열자 새로운 공간이 나왔다. 하늘에는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같은 여러가지 모양의 2차원 도형이 둥둥 떠다니고 있었다. 아래로 시선을 돌리자 한 남자가 끝이 보이지 않는 긴 직선을 따라 하염없이 걷고 있었다. 그 옆에는 또 다른 직선이 평행하게 있었다. 단은 옆에 있는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한국에도 우주를 꿈꾸는 과학자와 공학자가 있다. 비록 우주 선진국들처럼 유인 발사체를 보유하지도 못했고 우주정거장을 띄운 적도 없지만, 그들은 지상에 발을 디딘 채 하늘 너머를 꿈꿨다. 두 해 전, 그 과학자와 공학자 23명의 꿈에 동참한적이 있다. 1년 동안 화성 유인 탐사를 주제로 ‘과학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최근 생명과학계에 ‘작은 RNA’ 바람이 거세다.고작 20개 안팎에 불과한 염기서열이 암세포를 저격하고, 해로운 농약 없이도 해충으로부터 농작물을보호할 수 있단다. 염기서열 20개가 무슨 일을 하기에 이처럼 놀라운 위력을 발휘하는 걸까.1993년. 당시 하버드대 소속(현재는 매사추세츠 의대) 빅터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Electronic Hand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로봇 의수를 꿈꿀 수 있게 된 것은 전자공학이 등장한 뒤부터다. 전자공학의 역사는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1948년부터 시작됐다. 복잡한 연산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집적회로(IC)가 만들어졌고, 인간의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개발됐다.이제 남아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정치부 기자로 일하던 시절에 나는 소위 ‘정보맨’들의 모임에 참석한 적이 몇 번 있었다. 자기들끼리 네트워크가 있는 국회의원 보좌관, 국정원 IO(국내 정보관), 중수부 수사관, 정보과 형사, 월간지 기자, 대기업의 홍보 담당자 등이 삼삼오오 모여 소문도 전해 듣고 ‘찌라시’도 돌려보고 인물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도…, 도둑이 들었어요! 새롭게 선보일 발명품의 설계도가 사라졌다구요!”새로운 발명품 설계도가 사라졌다는 발명왕 ‘머라도 다맹그러’의 다급한 전화에 당장 현장으로 출동한 썰렁홈즈. ‘머라도 다맹그러’의 연구실은 여러 개의 방이 죽~ 이어져 있는 구조로, 맨 끝에 있는 방에 보관 중 ...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오늘은 체육 시간에 축구 경기를 하는 날이다. 드디어 내 발 앞에 공이 왔고, 야심 차게 골대를 향해 슛!~을 날렸지만…. 안타깝게도 축구공은 골대 위를 훌쩍 넘어가 버린다. 둥그런 탓일까? 축구공은 저 멀리까지 떼굴떼굴 굴러간다. 그런데, 축구공이 겉보기에만 구라고?겉모습만 구인 축구공?학교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