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문제 밑면이 사각형인 사각뿔을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3차원 그래프로 나타내보자.★ 폴리매스 홈페이지→[주니어 폴리매스]→[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단순히 지형만으로 이처럼 자세하게 줄기를 복원할 수 없다. 연구자들은 탄성파를 이용해 과거의 강줄기를 복원해냈다. 강물은 퇴적물과 함께 흐른다. 그래서 강이 흐른 자리엔 상류에서 이동한 자갈이나 모래 등 퇴적물이 강의 모양 따라 형성돼 있다. 황해 지역은 진흙, 진흙형 모래 등이 주를 ... ...
- [한페이지 뉴스] 세포를 색칠해 최초의 암세포 골라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어떻게 경쟁하고 상호작용하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이용해 대장암과 관련된 유전자(KRAS, PI3K)에 돌연변이가 생긴 세포가 주변 미세환경을 변화시켜 주변 정상 줄기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경쟁에서 승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결과 주변 정상조직은 줄기세포를 ...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든 사람은 재능이 각기 다릅니다. 누군가에겐 아주 쉬운 일이 다른 누군가에겐 어려운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운전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십만 원을 들여 면허 ... 발해 언젠가 모든 사람이 운전 실력과 상관없이 자율주행을 통해 편안하고 안전하게 자동차를 이용할 날을 꿈꿔 봅니다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펠티에 소자로 만드는 작고 소중한 에어컨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죠. 반도체를 활용하면 이 현상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 원리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를 ‘펠티에 소자’라고 부릅니다.반도체는 크게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로 나뉩니다. P형 반도체에는 전자가 들어갈 자리인 정공이 있고, N형 반도체에는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자유전자가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0MW(메가와트) 이상 규모의 대형발전소를 대상으로 전체 발전량의 일부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형발전소에서는 이 규정을 이행하기 위해 외국에서 값싼 목재펠릿을 수입해 석탄과 혼합해 연소하고 있다. 국내 5개 발전사에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수입한 목재펠릿만 7625억 ...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나는야 달콤 젤리 요리사~! 커다란 곰젤리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재보니 세로 길이는 1.5cm, 가로 길이는 0.8cm였지요. 이제 여러 크기의 곰돌이 젤리 틀을 이용해 만든 곰돌의 젤리의 크기를 알아 봐요. 곰돌이 젤리 만드는 방법은 다음 쪽에서 확인하세요. 만든 젤리 중 가장 작은 젤리의 세로 길이는 3.5cm, 가로 길이는 2.1cm였어요. 이 숫자로는 어떤 젤리가 얼마나 더 ... ...
- 맛있는 젤리가 가득! 젤리 상자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 본책28쪽, 놀이북23쪽과 함께 보세요! 직육면체 전개도를 이용해 간식 상자를 직접 만들 수 있어요. 놀이북 23쪽의 도안에 직접 그림을 그린 뒤 자르고 접어서 나만의 간식 상자를 만들어 봐요. 준비물은 색연필과 가위, 풀만 있으면 돼요. 4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권리를 뜻해요. 1993년 만들어진 ‘나고야의정서’에 따라 다른 나라에서 생물자원을 이용하는 경우 이와 관련한 이익을 반드시 생물주권을 가진 주권국과 나눠야 하죠. 그래서 세계 각국은 이미 생물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싸우고 있어요. 예를 들어, 인도의 경우 민간요법에서 활용되던 ... ...
- [헷갈린 과학] 부는 방식에 따라 다르다! 금관악기VS목관악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금관악기는 입구와 출구에만 구멍이 뚫려 있어요. 입구에 입술을 댄 뒤, 입술의 떨림을 이용해 소리를 내요. 구멍에 입술을 대고 숨을 세게 불면 입술이 진동하는데, 이 움직임에 따라 공기가 진동하며 소리가 만들어지지요. 또 진동의 빠르기와 폭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어요. 금관악기는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