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다.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시간과 공간 격자가 변하지 않는다는 상식을 깼고, 일반상대성이론으로 질량이 있는 곳에서는 공간도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끌려가듯 따라가는 회사 회식자리. 올해도 작년처럼 꿈에서도 마주하고 싶지 않은 과장과 함께 새해맞이 카운트다운을 할 수는 없다. 지긋지긋한 업무 스트레스에 거울 속 지친 내 얼굴이 친구보다 늙어보인다면…, 우리 감정과 노화의 뗄 수 없는 상관관계를 들여다보자. 나이에 비해 동안인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과학동아가 개최하는 과학 강연 및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가 11월 12일 토요일 서울 용산 동아시아언스 사옥 사이언스홀에서 열렸다. 이번 주제는 매년 10월 초 발표되는 노벨상 해설. 특히 올해 물리학상 수상 주제인 ‘2차원 물질의 상전이’라는 주제가 이해하기 어려워, 이를 쉽게 이해할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도형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거울 13,571,955,000개를 설치하자 더 이상 새로운 거울을 둘 자리가 없었어요. 이렇게 만든 도형의 대칭을 따지자 무려 4,154,781,481,226,426,191,177,580,544,000,000가지나 됐어요. 정말 어마어마하죠?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의 수학자 봅 그리스가 이보다 더 큰 도형이 있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모여 분자기계를 논하다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를 만드는 데 성공한 이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인 역사적인 날이 있었다. 2007년 11월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솔베이 콘퍼런스’에서였다. 물리학과 화학계의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는 회의로 1911년부터 3년마다 열린다. 소바주 교수가 의장을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설계하는 유일한 기준은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보기에 아름다워야 하고, 탈 자리도 있어야 하고, 튼튼하기도 해야 한다. 반유선형은 공간이 좁고, 덜 튼튼하다.이런 요소를 모두 고려한 자동차의 모양에는 ‘B-스플라인 함수’가 쓰인다. B-스플라인 함수는 여러 개의 점을 기준으로 매끄러운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호주연방과학원에 70명의 과학자가 모였다. 각국에서 내로라하는 과학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마스2020’ 탐사 프로젝트에 관해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였다. NASA는 2020년에 새로운 로버를 태운 무인 우주선을 발사해 유인 탐사를 위한 기초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마스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본회의 중에 여당 의원 한 명이 갑자기 막말을 하는 바람에 고성이 오가는 사태가 벌어져 자리를 뜰 수 없게 됐다고 문자메시지가 왔다.집으로 돌아오는 지하철에서 나는 휴대폰으로 ‘센서스 코무니스’를 검색해보았다. 그러나 그 불쾌한 대표의 회사에 대해 알려주는 결과물은 없었다. 다만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그렇다면 덴마크는 어떻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을까요? 덴마크는 가장 평화로운 나라 2위, 가장 투명한 나라 1위, 가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 1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또 무상 진료, 무상 교육을 위해 월 22만 원~100만 원 ... ...
- [가상인터뷰] 깃털색에 숨겨진 새매의 사냥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부리의 모양도 다른 거예요. 새매는 빠르게 땅으로 내려와 땅에 있는 먹이를 사냥하고 그 자리에서 먹어요. 하지만 매는 공중에서 먹이를 곧바로 사냥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요. 매는 비행 중에 사냥을 하기 때문에 사냥감의 목숨을 빨리 끊어야 해요. 이때 매 부리에 있는 작은 돌기가 사용돼요. 이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