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사용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제주도 풍력발전기
중
몇 개는 자주 작동을
중
단한다는데요. 그 이유가 뭘까요? 기후위기 및 재생에너지와 관련이 있다는데…. 영상에서 재생에너지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봐요!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다시보기 ●영상 제목바람이 불면 전기가 생긴다?●언제?202 ... ...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및 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한국에서 교육받은 수학자
중
처음으로 필즈상을 거머쥔 것이지요. 국제수학연맹의 도움을 받아 필즈상 시상식이 열리기 전인 6월 15일 허 교수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고, 시상식이 열린 핀란드 헬싱키에서 7월 4~5일 만나 더 이야기를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쓰는 것만 봐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단번에 알아차린다”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나
중
에 알고 보니 포민 교수가 입학 서류를 담당했던 게 맞더라고요(웃음)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②]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나는 세상의 모든
중
학생이 우리처럼 하루를 보내는 줄 알았다. 우리가 좋아했던 소설
중
에 헤르만 헤세의 이 있다. 성실한 학자 ‘나르치스’와 예술가 ‘골드문트’의 우정을 그린 소설이다. 그 시절 나는 준이를 나르치스라고 생각했는데 잘못 생각했던 것 같다. 그는 골드문트였다.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그뿐만 아니라 아직 대학교와 연구소 외에 수학자의 일자리가 적고, 연구에 집
중
할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합니다. 대한수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이용남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수학과가 줄어들면서 국내외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들이 오갈데 없는 처지에 있다”며, “편한 마음으로 오랜 ... ...
수상자 6명을 만나다! 24시간이 모자란 시상식 전 날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못 먹었지만, 제대로 신이 났던 시상식 전 날 이야기를 공개합니다. [AM 10:30] 잠이 뭐가
중
요해? 헬싱키로 가기 위해 비행기로 13시간 45분을 날아갔습니다. 잠을 거의 못 자서 눈을 비비며 새벽 5시 30분에 도착했지요. 호텔에 오니 아침 8시 반이었어요. 그런데 첫 번째 일정의 시작은 10시 30분!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되므로 소수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은 정수론에서 매우
중
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소수를 연구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소수의 불규칙성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속한 두 소수의 차이인 pn+1-pn은 매우 작을 때도 있고, 클 때도 있습니다. pn+1-pn이 작은 경우를 연구하기 위해 세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드는 최소한의 정보의 총량을 구하는 것으로, 브레이버먼 교수님은 정보복잡도의 여러
중
요한 정리들을 푸셨습니다. 또 경매시스템 디자인이나 장기기증 매칭 등의 알고리듬을 제작하고, 이 알고리듬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간 게임을 할 때 균형점을 찾기 ... ...
[릴라바티상] 3D 수학 애니메이션으로 수학의 대
중
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모양 거울 3개를 삼각뿔 형태로 붙입니다. 이제 정삼각형 종이를 삼각뿔 형태의 거울
중
앙에 붙이면 축구공이 나타납니다. 거울 3개가 모여 삼각형을 비추기 때문에 시선을 움직여도 공 형태가 바뀌지 않아요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즐겨보던 매체라 과학동아와 인터뷰를 한다는 게 신기하다”고 하면서도 “분명 독자
중
에서도 과학문화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 많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외계공작소의 일원으로 함께 하고 싶다면 얼마든지 편하게 연락해달라”며 “이야기를 나눌 준비가 돼있다”고 했다.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