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사람"(으)로 총 5,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세계가 ‘가짜’ 때문에 비상이다. 작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는 데 가짜 뉴스가 크게 기여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팩트 체크’가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이유다. 문제는, 체크해야 할 데이터가 어마어마하다는 것. 방법은 있다. 기계한테 맡기면 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자기만의 분야를 개척해서 평생 연구하신 분입니다. 그리고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었습니다.”“고체이론물리 분야에서 자신의 이론을 가진 거의 유일한 한국인 물리학자라고 할 수 있죠.”장회익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와 민병일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고(故)김덕주 일본 아오야마가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만약 우리의 수명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면 지역에 관계없이 장수인의 비율이 고르게 분포돼야 한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장수인이 눈에 띄게 많은 마을들이 있다. 이는 유전자 이외에 수명을 결정짓는 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대체 장수촌에는 무슨 비밀이 있는 걸까. 1 장내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다리던 5월이네요. 하루만 휴가를 내면 무려 5일이나 쉴 수 있는 ‘황금 휴가’가 있는 달입니다. 하지만 일부 직장인과 학생들에게는 그저 남의 얘기일 뿐이네요. 그래도 부러워만 할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과학동아가 소개하는, 미스터리가 가득한 신비로운 여행지로 떠나 보시죠. 아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딱정벌레의 색을 띤 승용차, 인간의 근육을 닮은 컨셉트카, 중력의 곡선을 지닌 이탈리아의 명차까지…. 자연의 색과 형태를 고스란히 지닌 자동차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 있어요! 바로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이에요. 우리나라 최초로 세워진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이지요.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2017년 2월 19일, 수학이나 물리학 관련 논문을 모아 놓는 웹사이트 ‘아카이브’에 재밌는 논문이 하나 올라왔다. 4명의 저자가 참여한 이 논문은 저글링 패턴 계산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놀라운 사실은 그중 3명이 우리나라 고등학생이라는 것이다. 대학생도 힘들어하는 논문을 고등학생이 썼다니,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백문이 불여일견. 오른쪽 QR코드를 읽어들여 동영상부터 보자. 반투명한 고무풍선처럼 생긴 물건 안으로 빨간 물감을 주입하자, 풍선 안쪽의 혈관(?)이 드러난다. 구석구석 흐른 빨간 물감이 곧 밖으로 뚝뚝 떨어진다. 쥐 같은 작은 동물의 심장 같기도 한 영상 속 물건은 놀랍게도 시금치 이파리다. ... ...
- [Photo] 우주는 사랑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심우주 부문 은상) 우주에 새겨진 사랑 이지수, 사랑의 결실하늘 위에는 매일 사랑이 떠오른다.사랑이 새겨진 이 천체를 보면서 인간은 진정한 사랑을 깨닫는다.▲(최우수상) 마귀할멈의 질투 정병준, 마귀할멈성운흰색 연기처럼 보이는 성운에 동화 속 못된 마귀할멈의 얼굴이 그림자처럼 드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금까지 명실상부한 장수의 민족은 일본이었다. 하지만 지난 2월, 2030년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이 일본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는 연구 결과가 영국 의학저널 ‘랜싯’에 발표됐다. 심지어 여성의 기대수명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마의 장벽이라 불리는 90세를 넘긴 90.82세였다1).세계적인 장수 국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폴리매스 프로젝트 10번 해바라기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인터넷에서 여러 수학자가 힘을 합쳐 난제를 푸는 폴리매스 프로젝트의 10번 문제인 해바라기 추측이 오늘 소개할 연구입니다. 해바라기 추측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지만, 이 추측의 따름정리격인 약한 해바라기 추측이 2016년 8월호에 소개한 새로운 도구 덕분에 풀렸습니다.서로 다른 집합 A1, A2, …,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