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혈액"(으)로 총 1,731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위암 갑상선암 등이 그 영향권 안에 든다. 또 호지킨병 T세포림프종, 몇몇 백혈병 등 혈액암의 발생과도 무관하지 않다.직장·결장암의 70%, 폐암의 50%, 유방암의 40%가 돌연변이된 p53과 관련있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매년 전세계에서 암환자로 진단되는 6백5십만명 가운데 약 반수가 돌연변이된 p53을 ... ...
-
- 아프리카, 살인 바이러스 에볼라 공포과학동아 l1995년 06호
- 바이러스나 결핵 바이러스 등은 공기로도 전염된다. AIDS, 에볼라 바이러스 등은 혈액이나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종류다. 바이러스의 생존전략은 끊임없는 돌연변이. 바이러스는 다른 미생물의 1백만배의 속도로 돌연변이할 수 있다. 대개의 바이러스는 공진화를 통해 숙주를 죽이지 않는 선에서 ... ...
-
- PART3 차세대 항암제 택솔, 만병통치약인가?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자연에서 찾아낸 보물, 택솔(Taxol). 전세계 항암제 관련학자의 반수 이상이 식물에서 유래한 항암 물질 택솔에 매달려 있다.최근 택솔(taxol)이라는 새로운 항암제가 등장해 암을 치료하는 의료인들 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항암제가 처음 세상에 등장한 것은 1946년이다. 2차 세계대전 ... ...
-
- 성전환수술 9가지 궁금증 풀이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갖는데 절대적인 역할을 하는 자궁과 난소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자궁과 난소는 혈액순환이 매우 많은 장기이므로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할 수도 없다. 만약 이식한다면 거부반응이 심각하게 나타날 것이다. 또 자궁과 난소를 인공장기화할 수도 없다. 자궁과 난소는 심장처럼 단순한 일만 ... ...
-
- 암연구의 메카 미국 국립암연구소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유전자 치료와 복합 화학요법을 처음으로 시작한 NCI. 한국인 연구원만 수십명에 이르는 NCI의 연구현황을 알아본다.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NCI)는 수도인 워싱턴 D.C.에 인접한 메릴랜드주 베데스다라는 소도시의 미 국립보건원 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 미 국립보건원(National ... ...
-
- 사람은 왜 죽는가과학동아 l1995년 06호
- 몸 안에서 생체시계(cellular clock)로 기능하며 있다. 우리 몸의 피부나 피 속의 림프구 및 혈액세포 내에 존재하는 말단소립은 매년 15-40 염기쌍(base pairs)씩 소멸돼 짧아진다. 우리가 태어날 때 말단소립은 6천-1만개의 염기쌍을 갖고 있다. 따라서 신체 각 부위의 말단소립 소멸 속도를 감안해 보면, ... ...
-
- 알레르기, 현대인의 불치병인가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피부반응검사로, 상당히 예민하고 정확한 진단방법이다.때로 혈액검사(RAST 등)를 통해 원인물질을 규명하려는 경우가 있는데 민감도가 떨어지고 간격이 비싸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기관지천식 환자에게는 흉부방사선 촬영과 ... ...
-
- 공기로 마시는 감기 백신 등장할 듯과학동아 l1995년 05호
- 항체가 생기는데 이것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아준다. 그러나 이 항체는 혈액 안에 존재하기 때문에 코나 기도를 통해 들어오는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방어실력을 보여주지 못한다.여기에 착안한 네덜란드 그로니겐대학 잔 월스첫교수팀은 감기 바아러스의 제1 침투로인 코와 ... ...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없지만 항원성을 보이는 HIV 바이러스의 한 종에 감염됐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감염자의 혈액을 채취해 항체검사를 실시하면 분명히 앙성 반응이 나타날 것이다. 이는 항원이 있는 곳에 언제나 항체가 있다는 면역상식을 떠올리면 쉽게 수긍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바이러스는 항원성을 갖고 있다고 ... ...
-
- 2 모델 동물실험 의약산업 혁명 눈앞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되고, 혈관이 연결된 다른 쥐는 음식을 먹지 않아 빼빼가 된다.너무 많이 먹은 뚱보 쥐의 혈액에 '지방이 너무 많다'는 신호를 갖는 호르몬 양이 높아진 것이 옆의 쥐에게로 흘러가서 그의 뇌에 전달되어 배부르다고 느끼게하기 때문이다. 이 호르몬의 정체는 역시 모델동물인 생쥐를 연구함으로써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