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특히 확보된 DNA 염기서열 조각들은 절반 이상이 염기
7
만 개 이상으로 구성된 매우 긴 조각들이었다. 가장 긴 DNA 염기서열 조각의 길이는 염기가 100만 개에 달했다. 연구팀은 나노포어 시퀀싱 기술로 얻은 긴 DNA 염기서열 조각과 NGS 기술 등을 활용해 얻은 짧은 DNA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분석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
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b2891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적으로 불릴 만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평소에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면 면역 시스템을 저하하고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태풍 예보 정확도 높인다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연구팀은 이 방정식을 이용해 만든 태풍 예측 수학 모형에 2012년 발생해 중국에서 약
7
조 원의 피해액을 낸 태풍 하이쿠이의 레이더 관측 자료를 대입했습니다. 관측 자료가 많으면 많을수록 모형에 쓰이는 방정식을 실제와 비슷하게 만들 수 있어 예보 오차를 줄일 수 있지요. 이렇게 수학 모형에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
7
이 1, 2, 4, 6, 9
7
이라면 평균은 22입니다. 하지만 22는 9
7
때문에 P
7
이라는 수의 집합을 대표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평균값보다는 여러 자료 중 가운데 값인 중앙값 4를 대푯값으로 취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상자 수염 그림은 특정 집단의 분포와 중앙값을 모두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답이 틀린다. 거듭제곱을 먼저 한 뒤 나머지 규칙에 따라 계산해야 한다. 즉 (-8)×5-2
7
÷9=(-40)-3=-43이 정확한 답이다. 다음은 드디어 괄호의 등장이다. 수식에서의 괄호는 우선순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괄호가 있을 때는 괄호 안을 먼저 계산해야 한다. 또한 괄호 사이에도 순서가 있어 ()→{}→[] 순으로 ... ...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사랑한 캐릭터는?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발표한 캐릭터산업백서에 따르면 상품을 구매할 때 캐릭터가 미치는 영향이 56.
7
%나 될 정도로 캐릭터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즐기고 체험하는 온라인 수학 축제, 폴리매스데이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제1회 폴리매스데이’를 아주대학교에서 열었습니다. 폴리매스데이는 수학동아가 201
7
년부터 온라인에서 진행해 온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한자리에 모여서 체험하는 수학 축제로, 이날 초중고생 335명이 수학 문제를 힘을 합쳐 함께 푸는 뜻깊은 경험을 했습니다. 폴리매스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던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때에 해당됩니다. 다행히 올해 일본뇌염 환자는 아직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8월 1
7
일 기준). 다음으로 위험한 종은 말라리아를 옮기는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입니다. 말라리아 역시 걸리면 약 48시간 주기로 오한과 고열 등의 증상이 반복되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중국얼룩날개모기는 ... ...
푸드파이터의 폭식, 훈련하면 늘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대회에는 유리할지라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200
7
년 네이선 핫도그 먹기 대회 선수들의 위 크기 변화를 형광 투시 기법으로 관찰한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연구팀 역시 “폭식이 반복될 경우 포만감을 느끼는 능력이 떨어진다”며 “(폭식을 반복하면) 체중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연구원이 속한 듀크대 연구팀과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7
월 16일 아귀 속(屬) 심해어인 오네이로데스(Oneirodes sp.)의 빛 반사율이 0.044%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빛 반사율이 0.06%인 나비인 캐토네프헤레 안티노에보다도 더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