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뉴스
"
실험실
"(으)로 총 1,804건 검색되었습니다.
근로계약 못하는 출연연 학생연구원, 학교로 돌아가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8.21
취지는 좋지만 연구 현장의 현실적인 부분이 고려되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실험실
운영상의 문제로 일부 학생들은 졸업 시기를 앞당기기도 했다. ● 병역특례·취업후상환 학자금 대출과도 충돌… 제도 개선 필요할 듯 학생연구원들의 근로계약 체결을 준비하는 기관들도 골머리를 ... ...
99년만에 90분간…美 전역서 ‘개기일식’ 우주쇼
동아사이언스
l
2017.08.18
대규모로 태양을 관측하는 기회를 얻은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지구 전체가 대규모 자연
실험실
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 참여로 완성되는 일식 추적 지상에서는 시민들의 참여로 더 많은 과학적 발견을 노린다. 미국 음향기기 기업 매킨토시가 이끄는 ‘이클립스 메가무비 프로젝트 ... ...
국내에서 가장 깊은 지하
실험실
구축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16
조용해야 미세한 소리를 잘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입자연구시설은 기존 양양
실험실
에 비해 배경잡음을 5배 이상 잘 차단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영덕 IBS 지하실험연구단장은 “우주입자연구시설이 완공되면 천체입자물리학 분야가 한 단계 도약하고,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 ...
[테마가 있는 영화] 유인원의 역습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
2017.08.12
출산한 새끼를 보호하려는 본능 때문이었고, 윌은 홀로 살아남은 새끼 침팬지를 데리고
실험실
을 떠난다. 윌은 아버지에게도, ‘시저’라 이름 붙인 새끼 침팬지에게도 ALZ-112를 주입하면서 실험을 계속하게 되고, 이미 약의 효과가 나타난 어미의 유전자를 물려 받은 시저는 놀라운 속도로 지적 ... ...
[종합] 박기영 과기혁신본부장 사퇴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논문 조작사건이 벌어진 이후 진행된 검찰 수사 과정에서 저를 비롯한 저희
실험실
학생구성원과 연구진 모두가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되어 조사를 받았으나 연구진행과 연구비 사용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이번 언론보도에서는 과거 소나기처럼 쏟아지던 각종 의혹들이 진실 규명 없이 ... ...
호박 속에 생생하게 남은 9900만 년 전 아기 새
과학동아
l
2017.08.07
연조직과 골조직이 거의 완벽하게 보존됐다. 중국지구과학대 생물지질학 및 환경지질학
실험실
리다 싱 연구원팀은 이를 통해 약 9900만 년 전 화석 속에 갇힌 에난티오르니테스가 갓 부화한 어린 상태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를 이용해 살아 있을 당시 비행하는 모습을 ... ...
[ESC의 목소리 (16)] 미래의 과학교육을 생각한다
2017.08.07
안 되는 학교도 많다고 한다. 또한 실험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준비하고
실험실
관리와 안전을 책임질 과학실험조교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립학교가 과학실험조교를 두고 있지 않으며 공립학교의 경우에도 실험조교가 다른 학교 업무를 겸임하면서 본연의 업무에 ... ...
실험실
밖 유전자가위 기술 위해 필요한 제도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8.02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둘러싼 법과 제도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 열린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유전자교정 기술 도입 및 활용을 이한 법ㆍ제도 개선방향’을 주제로 112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한다. 김정훈 서울대 의과대 ... ...
발달 장애 비밀 풀 ‘인공 뇌’ 제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아칸사스대, 호주 왕립어린이병원 무도치어린이연구소 등이 함께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실험실
에서 ‘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억제 신경세포가 대뇌 피질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해 7월 27일자 ‘셀-줄기세포(Cell Stem cell)’에 발표했다. 오가노이드는 장기세포나 줄기세포를 배양해 만드는 인공 ... ...
내 뇌에 너의 기억을 심으면 나는 너일까, 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들거나 뇌에서 읽은 신호를 운동신경 자극으로 변환해 마비된 팔을 움직이는 일 등이
실험실
단계에서 이뤄졌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반대로 로봇의 손가락을 터치했을 때, 사람이 마치 자신의 손가락인 것처럼 몇 번째 손가락에서 터치감이 느껴졌는지 보지 않고도 알아 맞혔다. 국내에서도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