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7건 검색되었습니다.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스트로마톨라이트가 그보다 2억 년 뒤 서호주의 스트로마톨라이트와 구조적으로 별
차이
가 없기 때문에 37억 년 전도 생명체가 지구에 나타나고 한참 뒤인 시점일 거라고 추측했다. 즉 지구 생명의 역사가 40억 년이 넘는다는 게놈비교를 통한 계산의 결과가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지구 역사 ... ...
다이어트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물론 허벅지의 지방도 줄어드는 식이다. 다만 부위에 따라 체지방이 연소되는 속도의
차이
는 있다. 지방세포는 교감신경이 흥분해서 아드레날린 계통의 물질을 분비하면, 그 신호를 받아 분해된다. 이때 신호를 받아들이는 정도를 지방세포의 활성도라고 하는데, 지방세포는 부위마다 이런 활성도가 ... ...
과학기술인 복지, 지역 간 온도차 낮추려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이 때문에 연구기관이 집중돼 있는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은 복지 만족도에서 분명한
차이
가 나타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학기술인의 복지 만족도 중에서 지역 간 온도차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현재 대전, 경북, 전북 지역에서 근무하는 연구자와 정책 전문가를 대상으로 대담을 진행해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명사편] 요즈마캠퍼스 김진아 총괄이사
2016.09.09
회사에 들어가서 돈을 벌 것이냐 아니면 내가 이끄는 회사에서 돈을 벌 것이냐는 관점의
차이
밖에 보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죠. 창업이라는 게 취업의 대안이라고 보여지는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기업가정신의 역량이 국내 창업 청년층에게 근본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다고 밖에 볼 수 없는 것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enteroid)를 써서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그런데 혈액형의
차이
가 왜 이런
차이
로 이어지는 걸까.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있는 당분자의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즉 O형은 단당류 네 개로 이뤄진 분자이고 A형과 B형은 여기에 하나(A형은 GalNAc, B형은 Gal)가 더 붙어 다섯 개로 이뤄진 분자다. AB형은 A형 ... ...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09.02
준비하기 위해 북한 수학 교육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남·북한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
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통일 이후 새로운 교과과정을 만들 때 기초 자료로 쓰기 위해서다. 기초 자료가 탄탄하면 각 교육과정의 장점을 바탕으로 통합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지난 7월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
2016.08.22
즉 서늘함엔 좀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한편 28도/33도와 33도/43도에서는 둘 사이에
차이
가 없었다. 즉 TRPM2가 고장날 경우 쾌적함을 느끼는 온도 범위가 기존의 불쾌하다고 느끼는 고온의 범위까지 확장되는 반면 고통스러운 고온(43도)을 느끼는 데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전 연구에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차가운 금속막대의 경우 착각이지만) 갈증뉴런이 억제된다. 음료의 온도에 따른
차이
도 갈증뉴런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즉 12도인 찬 물을 마실 경우 24도나 36도 물에 비해 갈증뉴런의 활동이 감소하는 폭이 컸다. 음식을 먹을 때도 갈증뉴런이 발화한다. 음식이 소화될 때 용질 농도가 증가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2배 더 정확한 뇌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15
변화 등을 분석했다. 여기에 인공지능(AI)에 쓰이는 ‘머신러닝’기술을 동원해 개인별
차이
를 보정했다. 데이비드 반에센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구축된 뇌지도의 일부 영역은 더 세분되거나 다른 영역에 속한 부분일 가능성도 있어 추가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자폐증이나 알츠하이머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화음을 들려주고 선호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어울림음정이든 불협화음이든 선호도에 별
차이
가 없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대조적으로 볼리비아의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미국 거주민들만큼은 아니었지만 어울림음정을 선호했다. 이번 연구는 ‘아름다운 음악’의 기준이 생물학적으로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