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자동 카트에 실었다고 상상하면 되겠네요. 올해 NIAC 2단계에 선정된 ‘바이오봇’은 개발을 거쳐 미국의 나사 존슨 센터에서 작동 시연 실험을 거칠 예정이랍니다. ●인터뷰 “전파천문대 인턴을 하면서 발상의 씨앗을 키웠어요!” 셉타르시 반디요파디예(NASA 제트추진연구소 로봇 공학자) Q. 달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높낮이는 NASA의 달 궤도선 레이저 고도계로, 달의 적도 지역의 높낮이는 일본 항공우주개발기구의 달 궤도선 ‘셀레네’가 측정한 정보를 종합했지요. 연구팀은 지질의 특성과 지형에 따라 색을 다르게 표현했어요. 지도를 보면, 각 지역이 어떤 종류의 암석으로 이뤄졌는지, 어떤 구조인지 ... ...
- a-school 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학생들이 코딩에 흥미를 갖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언어여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예술도 이제는 코딩으로!태양이 빛나는 하늘 아래 산과 나무, 구름이 어우러진 풍경을 기하학적으로 묘사한 아래 그림 역시 프로세싱으로 그린 그림입니다. 화면 위에 원과 선을 ...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과학동아 l2020년 11호
- DNA를 자를까’라는 질문에 꽂혀 정교한 유전자 편집 기술 ‘크리스퍼-캐스(CRISPR-Cas)9’를 개발해냈습니다.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라인하르트 겐첼(68)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연구소장과 앤드리아 게즈(55)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블랙홀이 과연 어디에 있을까’라는 ... ...
- [한페이지 뉴스]사막 공기에서 물을 뽑을 수 있을까? “YES”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한낮 상대습도가 10~20%인 건조한 공기 중에서도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줄’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우리나라가 가장 건조해지는 3~4월 전국 평균 상대습도가 이보다 높은 50~70%인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물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연구팀은 낮과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중요하지 않을까요.이선재(경기 정평중 2)정신과에서 상담을 해주는 인공지능 로봇을 개발했는데, 환자들이 사람을 대할 때보다도 자신의 감정을 잘 털어놓는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 상담사라면 하지 않았을 법한 말을 해 환자들이 혼란을 겪기도 한다는데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나노 상자에 ‘쏙’ 담아 자동차 배기가스 없앤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금속유기구조체가 특히 수분에 안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금속유기구조체의 대부분은 수소화붕소리튬 등 물 분자와 반응성이 높은 환원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에 담그면 구조가 무너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연구팀이 제작한 1가 구리 이온(Cu+) ... ...
- [미국유학일기] 식사부터 파티까지 똑똑한 기숙사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프로그래머나 행정실의 사무직으로 일한다. 나는 2학년 때 두 학기 동안 생물 연구실에서 개발자로 일했다. 평소에 학업으로 매우 바빠 일주일에 10시간 정도만 일했는데, 그마저도 매우 벅찼다. 그래도 시간당 20달러(약 2만3000원)을 받아서 생활비에 보탤 수 있었으니 만족한다.또 학부생이 가장 많이 ...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어떻게 나는지 연구했어요. 이를 토대로 곤충을 닮은 ‘생체모방 초소형비행체’를 개발 중이지요.제가 연구하는 곤충 중에는 공기가 희박한 높은 고도에서 이동하며 겨울을 나는 ’왕나비’가 있습니다. 일본의 동료와 얘기를 나누다 화성의 대기도 희박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곤충을 닮은 ...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도는 천체를 ‘외계행성’이라 해요. 최근 천문학자들은 외계행성을 찾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했어요. 2008년에는 129광년 떨어진 HR 8799 항성의 목성형 행성이 직접 관측되기도 했지요. 하지만, 지구 크기의 외계행성의 표면을 보기는 힘들어요. 밝은 항성 가까이를 돌고 있는 데다, 너무 작고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