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들어 H3 히스톤의 27번째 라이신(K)에 메틸기가 세 개 붙으면 이질염색질로 변한다(상단 그림 참조). 이외에도 히스톤 아미노산에 아세틸기, 유비퀴틴, 인산 등이 붙고 떨어짐에 따라 뉴클레오솜은 물론이고 염색체 전체의 구조가 바뀌기도 한다. 그중 다섯 가지를 엄선해 소개한다. 이것만 알면 당신도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것이다. 발신기별로 위상을 조금씩 다르게 하면 하나의 레이더처럼 운용할 수 있다(63p 그림 참조). 이 원리로 위상배열 레이더가 탄생했다. 수많은 미사일의 공격을 동시에 방어하는 구축함인 이지스함에서도 위상배열 레이더를 사용하고 있다.트랙맨의 레이더도 같은 원리다. 위상배열 ...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토대로 이 머리뼈의 주인이 거대한 파충류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지만 글과 그림만으로는 연구를 자세히 할 수가 없었다.제대로 된 연구는 1820년대가 돼서야 이뤄질 수가 있었다. 운 좋게 이 거대한 화석을 직접 관찰할 기회를 가졌던 영국의 지질학자 윌리엄 코니베어는 최초의 화석이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보관한다. 염기 150개당 히스톤 8개가 팽이 같은 구조를 이뤄 DNA를 압축해서 저장한다(위 그림 참조). 이 구조를 ‘뉴클레오솜’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뉴클레오솜이 다시 촘촘히 뭉쳐 우리가 아는 염색체가 된다.세포 속에 있는 DNA 대부분은 자유로운 나선가닥이 아니라 히스톤에 묶인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히스톤 변형 등이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퍼즐을 완성하려면 좀더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쓰레기 DNA가 만든 유용한 RNA현재까지 퍼즐을 완성한 가장 강력한 후보는 비암호화 RNA다. 비암호화 RNA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RNA다. 인간게놈프로젝트 결과 단백질을 만드는 ...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날카로운 칼, 풀만 있으면 돼요. 하지만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지요.우선 종이에 그림을 그려요. 부조를 만들 때는 입체감을 줘야 하기 때문에 층별로 들어가는 모양을 각각 그리고 칼로 잘라요. 이렇게 자른 종이를 접거나 구부려서 입체감을 준 뒤, 층층이 풀로 붙여서 조립하면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엄밀하게 논리를 따져 어떤 공식을 증명하기란 꽤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이럴 땐 그림이나 도구를 이용하면, 수학적으로 증명하지 않아도 정리나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브릭으로 증명해 보자. 피타고라스 정리란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을 제외한 두 변의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따르는 두 천체 주변에서 중력이 0이 되는 안정적인 지점이다. 뉴호라이즌스 호의 궤도그림에서 화살표의 길이는 속력의 크기이고, 화살표의 방향은 우주선의 진행 방향이다. 목성을 통과한 뒤 뉴호라이즌스 호의 속도는 목성의 중력 영향으로 가속도가 생겨(빨간색 화살표) 방향도 바뀌고 속력도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21개의 세로선을 만드는 이유를 알아볼까요? 를 보세요. 의 두번째 그림에서 그렸던 나선을 x축, y축 위에 올려놓으면 하나의 긴 나선은 원점으로부터 시작하는 대각선(하늘색)이 됩니다. 따라서 대각선의 방정식은 y= 8/13x이 됩니다. 이 직선과 짧은 나선(연두색)이 만나는 교점을 모두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게이머들은 쥐 망막과 연결된 신경세포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해서 찍은 2차원 그림을 보면서 신경세포를 3차원 입체 구조로 연결해 나가요. 이런 작업을 알아서 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있지만, 신경세포의 연결이 아주 복잡하기 때문에 완벽한 구조를 만들 수 없어요. 그래서 사람이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