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달"(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를 탐험할 수 있을 정도로 진화했어요. 우리가 역사책에서 보던 많은 일들이 우주 달력에서는 12월 31일 밤 11시 59분부터 약 1분 동안 일어난 일에 불과하답니다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여러 장의 끝을 정확히 맞춰놓고 접어보면, 안쪽 종이와 바깥쪽 종이의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서 접고 나면 끝부분이 정확히 포개지지 않는다. 여러 층으로 이뤄진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도 접을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데, 점착제가 유연하지 않으면 안쪽 디스플레이가 구겨질 수 있다. 또 수십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개발 중이다. 기존의 유압식 로봇팔에서 손목 부위는 180도로 움직이는 사람 손목과 달리 45~70도로 움직이는 데 그쳤다. 움직일 때마다 손목 부위가 덜렁거려 제어도 어렵다. 연구팀은 사람이 팔을 움직일 때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이 서로 번갈아 당겨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모방해 두 개의 유압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쓴 부재보다는 복원된 문화재에 더 큰 관심을 쏟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 팀장의 생각은 달랐다. 그는 재료를 마감하는 법이나 건축 역사를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서는 분해된 부재를 두고두고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내용은 문화재를 겉으로만 봐서는 잘 알 수 없다. 문헌에도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달의 위치를 계산했어요. 그 결과, 1889년 5월 16일과 7월 13일에 그림과 똑같은 위치에 보름달이 뜬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둘 중 정답을 찾는 일은 어렵지 않았어요. 그림 앞부분에 수확한 노란 밀들이 쌓여 있었거든요. 5월은 밀이 아직 덜 익어서 초록빛을 띠는 시기로, 밀 수확은 주로 늦여름에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아직 갈 길이 멀다. 서 대표는 “가상현실 기술로 소비자들에게 어떤 경험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은 이제 시작 단계”라고 털어놨다. VR 콘텐츠는 사용자들이 소비하는 방식이 기존 영상과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연애 시뮬레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같은 1인칭 시점을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식과 비슷한 수준으로 인증 오류가 낮다. 특히 지문이나 홍채, 얼굴 등의 생체정보와 달리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 수석연구원은 “향후 다중생체인증 시스템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문, 얼굴, 홍채 인식 등과 더불어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한 새로운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행동과 감정을 파악하는 일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기존 심리학으로 해석한 도서와 달리 색다른 흥미를 돋울 것이다. 사회적 성격을 알기 위해 사주나 혈액형별 성격을 확인하는 것보다는 뇌를 탐구하는 것이 더 정확하기도 하다.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을 대하면서 가진 의문을 뇌과학 이론으로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측 활동의 경우 천체 강연이나 망원경에 관한 강연, 도시에서도 잘 보이는 별자리, 달 등을 관측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문 캠프는 빛 공해가 적은 지역에 위치한 천문대를 직접 방문해 늦은 시간까지 많은 별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지질 답사는 한탄강이나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교수팀은 스스로 목적지까지 걸어가는 미세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다리 한 개에 달린 발 두 개,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손 두 개를 가진 이 로봇의 보폭은 고작 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