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지
땅
지상
대지
육지대
토지
뭍
d라이브러리
"
대륙
"(으)로 총 1,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오만의 오피오라이트는 아라비아와 유라시아 플레이트에 끼어 생긴 것이다. 이 두
대륙
중간의 해양저는 그 가장 약한 부분에 틈이 벌어져 생긴 것이다. 대양 중앙 해령에서 보면 두개의 플레이트가 합쳐지는 곳이다. 대양저는 아라비아 플레이트 위에 얹혀 마그마 덩어리를 포함한 해령의 일부를 ... ...
종양수술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인해 이런 의혹을 더욱 부추긴다. 그는 때때로 자신이 19세기에 미개한 아프리카
대륙
에 첫발을 디딘 선교사같은 기분이 든다고 털어놓는다. 미국 뢴트겐학지에 그의 원고가 실렸을 때도 '피글리'는 그가 어떤 진지한 비판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말한다. "아무도 그의 성실과 진지함을 의심하진 ... ...
국토개발과 기후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쬐게 하여 얼음을 녹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같이 북극의 동토지대가 해소되어 시베리아
대륙
의 기후가 온난하여지면 강한 시베리아고기압이 약해지고 우리나라 겨울에는 차고 강한 북서풍이 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와 완전히 다른 기후가 형성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과거 20년 사이에 국토개발 ... ...
바다위에 해상도시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반드시 좁다고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바다가 있기 때문이다. 국토(22만km²)의 3배가 넘는
대륙
붕(68만km²)과 총연장 1만7천2백km(육지부 8천9백km, 도서부 8천3백km)에 달하는 해안선이 있으며, 무한한 바다가 있는 것이다.더구나 수심이 2백m를 안넘는 황해와 남해안 서해안 일대의 무수한 섬들이 ... ...
인도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달리 여러개의 하천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특히 데칸고원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대륙
이 남은 일부여서 오래된 지층으로 구성되어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북서부는 넓은 용암지대로 그 풍화토양은 면화재배에 적당하다.인도받도의 해안은 동쪽과 서쪽이 달라 서쪽연안은 넓은 평야가 없다. 다만 ... ...
'광물의 표본실' 한반도의 천연자원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제공하고 있다.황해수역 역시 해안선이 길고 황해의 중앙부도 수심이 1백m를 넘지 못하는
대륙
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수심이 얕고 조류가 급한 관계로 바닷물이 항상 혼탁하여 플랭크톤은 동해의 절반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더우기 장산곶 이북의 북부해역은 겨울철에 수온이 빨리 낮아져서 ... ...
식량문제를 해결해줄 수산자원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갖추고 있다. 해안선이 길고 섬이 많으며 서해와 남해에는 수심 2백m 이내의 넓은
대륙
붕이 발달되어 있어 천혜의 연안어장을 형성하고 있고, 동해는 난류인 쿠로시오 해류와 한류인 오야시오 해류가 교차하는 곳이어서 많은 어류들이 모여들고 있다.따라서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많은 종류의 식량을 ... ...
공룡비행기, 워싱턴 상공을 난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올린 것이 신의 뜻인것처럼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의 회상ㅡ"그 무렵 나는 가족과 함께
대륙
횡단 휴가를 보내던 참이었읍니다. 차를 몰면서 나는 우연찮게도 매가 공중에서 한 바퀴의 완전한 원을 그리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가를 재어보기 시작했읍니다. 새의 비행에 관해서는 약간 공부해둔 ... ...
바다로 흘러간 유용광물 회수해야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천연개스를 발견했음이 또다른 증거이다.이상의 황해와 남해외에 동해의 퇴적분지와
대륙
사면도 석유부존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다만 한가지 약점은 한반도가 섭입대(subduction zone)를 갖는 수렴주변부(convergent margin)부근에 위치하여 신생대에 들어와서도 화산활동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부존되었던 ... ...
금수강산을 수놓는 식물들의 세계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메타세코이아는 백악기와 제 3기초에는 북반구(북구)에 흔했으나 오늘날에는 중국
대륙
에 극히 드물게 자생하며, 은행나무는 역시 북구에 널리 분포했었으나 지금은 중국의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자생종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은행나무는 나자식물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것으로서 4월말경에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