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실 죽은 왕비를 위한 무덤이었다. 그래서일까? 타지마할은 엄격한 대칭 구조다.
반
으로 접었을 때 왼쪽과 오른쪽이 정확하게 일치할 정도로 말이다. 대칭 구조는 매력적이다. 타지마할처럼 대칭으로지어진 건물에서 사람들은 안정감과 균형을 느낀다.자연 역시 대칭을 좋아한다. 우리는 꽃잎이나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증폭기를 사용해 수동으로 탐지했다. 그러나 1918년에는 음파를 발사해 잠수함에서
반
사돼 돌아오는 소리로 잠수함을 찾을 수 있는 장비를 개발했다. 엔진을 끈 잠수함도 찾을 수 있게 됐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은 음파탐지기(SONAR)를 사용해 독일의 잠수함 유보트(U-boat)에 맞서는 대잠수함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지방의 높은 산악지대에 많은 얼음층이 뒤덮혀 해수준면이 하강하였으며 간빙기에는
반
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또 이 세에는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고, 지구상의 동식물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세는 인류의 조상이 나타난 시기이기도 하다대기의 압력(기압)을 재는 단위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두 브랜드를 통해 스포츠와 음악이 만났다.‘나이키 + 아이팟’ 키트는 운동화에 내장된 작은 센서를 통해 실시간 트레이닝 데이터를 아 ... 뚜렷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장마는 여름 몬순 기간에 나타난다 그러나 몬순과 장마가
반
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오-하우스’(Son-O-House, 2005년)는 네덜란드의 건축회사 녹스(NOX)와 미디어 아티스트 에드윈
반
데어 하이드(Edwin van der Heide)가 세운 일종의 소리 건축이다. 물리적+디지털+감성적‘선-오-하우스’에는 센서 23개와 스피커 20개가 달려 있어 방문자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해 마치 생명체처럼 24시간 살아 ... ...
만성통증에는 음악이 특효약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음악을 들려주고 다른 20명에게는 들려주지 않았다. 실험에 참여한 환자들은 평균 6년
반
동안 관절염이나 디스크, 류머티즘 같은 만성질병을 앓고 있었다.실험 결과 음악을 들은 환자는 음악을 듣지 않은 환자보다 통증이 최대 21% 줄었고, 통증에 따른 우울증은 최대 25% 감소했다. 연구팀은 음악이 ... ...
1. 너희가 섹스를 아느냐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행위를 해야 한다. 에너지와 시간의 낭비가 불가피한 것이다.요컨대 섹스는 생식을 위해
반
드시 좋은 수단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성공적으로 진화된 고등생물일수록 유성생식에 의해 종족을 번식시키고 있다. 따라서 섹스의 비용을 부담하는 대가로 개체가 보상받는 이익을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뜨는 곳이 가장 북쪽과 가까운 하지 때가 태양이 하늘에서 머무는 시간이 가장 길고,
반
대로 동지 때가 가장 짧지요. 그리고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은 춘분과 추분 때뿐입니다. 태양과 달의 숨바꼭질, 개기일식3월 29일 개기일식, 우리나라에서는 왜 볼 수 없을까요? 3월 29일에 아프리카 북부와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1961년 5월 부랴부랴 자국 최초의 우주인을 탄생시켰다. 앨런 세퍼드 해군 소령이 지구를
반
바퀴쯤 돌고 태평양으로 귀환했던 것이다. 이듬해 2월 존 글렌 해병대 중위가 지구 궤도를 완벽하게 도는데 성공했다. 가가린과 글렌의 공통점 하지만 글렌이 귀환하는 과정에 우여곡절이 있었다. ... ...
무기자 메디칼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는 4.6에서 8사이. pH가 4.6 이하인 산성이면 지나친 단백질 위주의 식생활을 하지 않는지,
반
대로pH가 8 이상이면 지나치게 채식만 하거나 신장질환이 있는지 의심해 본다. pH가높으면 소변 스틱의 두 번째 칸이 녹색이 된다. 백혈구는 알고 있다소변 스틱 세 번째 칸은 백혈구 수치를 측정한다. 수치가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