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문제를 푸는 방법이 늘 한 가지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는 그런, 전혀 다른 두 가지
아이디어
로 풀리는 문제를 만나보려고 합니다.도시대항 국제수학토너먼트(TOT) 2001년 가을 A레벨 중등부 2번n≥3은 자연수이다. 한 원의 둘레가 2n개의 점에 의해 2n개의 원호로 분할되어 있다. 각 호의 길이는세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해안가 문화를 따라 한국으로 넘어온 중국 점토묘의 변형일까. 아니면 주자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였을까. 조선시대 우리네 조상들의 타임캡슐인 미라는 여전히 그 신비로움을 감춘 채 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한국 미라 기원을 찾아서Part 1. "세계에서 가장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 계속 대화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다보면 멋진
아이디어
가 나와요. 창의성도 소통이 필요한 거죠. 물론 나만의 사색도 없어서는 안 돼요.”그는 실험실에 있는 대학원생들에게도 섣불리 답을 제시하지 않으려 애쓴다고 말했다. “교수가 참아야 돼요. 아무리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저절로 자석이 되는 현상(‘강자성’ 현상)을 설명하면서 ‘자발적 대칭성 깨짐’이라는
아이디어
를 제시했다. 이후 낮은 온도에서 유체의 점성이 사라지는 ‘초유동 현상’, 그리고 금속의 전기 저항이 낮은 온도에서 0이 되는 ‘초전도 현상’이 모두 이 자발성 대칭성 깨짐 때문에 일어난다는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도로 이 분야에 몰두하고 있다.차 교수는 “다른 분야를 계속 공부하면 연구에 필요한
아이디어
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료전지의 용량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 때 반도체 연구에서 답을 얻었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제어장치를 개발할 때 GPS 기술을 이용한 것처럼 말이다.최근 차 ... ...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렇게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오늘날까지 물리학자와 수학자, 천문학자를 매료시키는
아이디어
의 원천이다. 그런 아인슈타인과 대화하거나 강의를 듣는 방법은 없을까. 아인슈타인은 오래 전에 타계했지만 다행히 간접적으로 그의 강의를 맛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강의록을 읽는 것. ... ...
소통하는 영재의 산실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받았어요. 미국 스탠퍼드대 영재교육원에서 운영하는 온라인교육 프로그램을 보면서
아이디어
를 얻은 것이죠. 이것을 확장하다 보니 물리교육뿐 아니라 과학영재교육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2005년 경원대 과학영재교육원이 개원할 때부터 원장으로 있으면서 ‘창의적인 영재교육’ 을 ... ...
PART 1-1 내 마음을 맞혀봐, 게스 후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4가지를 동물 대신 다른 것으로 바꿔 보는 겁니다. 게임이재밌으려면 게임판을 만들 때도
아이디어
가 필요합니다. 여러 가지 특성이 골고루 들어가도록 24가지를 채워야 합니다. 그래야 질문을 했을 때 한꺼번에 여러 개가 제외되지 않을 테니까요.만약 24가지 나라 국기로 판을 만든다면, 나라가 속한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마포평생학습관 아현분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물병을 달고 빨대를 꽂아 자전거를 타는 도중에 언제든지 쉽게 물을 마실 수 있게 한
아이디어
를 발표했어요. 창의적인 생각은 나이와 상관이 없나 봐요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프로젝트죠. 과제에 선정된 국내외 화학자들은 실적보고에 대한 부담 없이 마음껏
아이디어
를 실험할 수 있습니다. 두 분은 화학자로 평생을 보내셨습니다. 가장 존경하는 화학자는 누구입니까.김 초대 KAIST 원장을 지내신 이태규 박사와 ‘비날론’을 개발한 이승기 박사입니다. 국내 1호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