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소모적이고 피로한 논쟁만 일으킬지도 모른다. 한편 과학에는 제동도 필요하기에, 일부 인류학자와 과학자의 주장대로 이들이 갑자기 생물학적 인종 이야기로 ‘튀고’ 그게 다시 차별적인 인종주의를 불러올 가능성은 경계해야 한다.과학은 그 동안 차별적인 인종 개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론이 제안됐지만, 사실상 그 이론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인류는 우주의 초기 조건에 대해 알고 싶어 하지만, 한가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우주론에서 얘기하는 관측은 빅뱅이 일어난 시점이 아니고, 우주의 급팽창(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시점이지요. 물론 ...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칼라하리 사막에 사는 ‘!쿵’ 부족은 산모가 오롯이 혼자의 힘으로 아이를 낳아요. 인류학자 마저리 쇼스탁이 !쿵족 여성의 출산과 양육 이야기를 기록한 ‘니사’는 출산과 양육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뒤흔드는 책이에요. !쿵족 여성들은 어떠한 의료시설이나 산파조차도 없이 되도록 혼자서 ...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있다. 인간이 식물 세계를 남김없이 파괴할 수 있다는 ‘자만심’의 산물인 것이다. 과연 인류는 식물계를 완전히 파괴시킬 수 있을까?히로시마에 원폭이 떨어진 이듬해에 다시 살아난 은행나무나, 독일 루르산업지대의 죽은 땅을 노랗게 덮은 이끼들이 웃는 소리가 들린다.▼관련기사를 계속 ... ...
- 우주의 꿈, 화성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때는 거리가 4억km까지 벌어진다. 4억km가 감이 잘 오지 않는다면 달과 비교해보면 된다. 인류는 겨우 38만km 떨어진 달에 몇 번밖에 다녀오지 못했다. 이보다 수백배 나 먼 곳까지 무사히 여행하는 게 가능할까. 산적한 기술적, 생물학적, 천문학적 문제를 어떻게 풀 수 있을지, 다음 이야기에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대한 복종 등과 같은 성향은 어느 일부의 이상한 사람에게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오랜 세월 동안 진화시켜온 본능이기 때문이다. 연일 극단적인 발언을 쏟아내는 일부 국가 지도자들의 뇌도, 겉보기에는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결국 합리성을 기반으로 한 각종 사회제도와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상하수도나 교량, 댐, 터널, 도로 등 사회기반시설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인류가 자연재해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안전한 삶의 터전을 가꾸기 위해 개발한 토목기술이 건설공학의 뿌리입니다. 마실 물과 농사에 필요한 물을 얻기 위해 수로를 만들고,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건물을 쌓는 등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유전체 연구는 왜 기초과학에 투자해야 하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다. 콜럼버스는 인류가 이뤄낼 무한한 발전을 상상하지 못하고 신대륙(아메리카)에 발을 내디뎠지만, 우리는 암보렐라를 발판 삼아 유전체 신대륙에 한 발 더 나감으로써, 인간에게 펼쳐질 거대한 블루오션을 기대할 수 있다 ... ...
-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과학동아 l2014년 04호
- K 선수와 국가대표 양궁선수 O 등이 재활을 통해 날개뼈를 바로잡고 좋은 성적을 냈다.인류의 팔은 던지기 용이 아니다류현진 선수의 투구 폼은 의사가 보기에도 완벽하다. 머리와 몸통이 기울어지지 않았고, 공을 뿌리는 팔도 몸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자세와 균형이 완벽하게 맞는 좋은 투구 ... ...
- INTRO. 꽃,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생태계를 바꿔나갔다. 현생하는 모든 곤충과 초식동물, 영장류, 인류의 조상은 꽃과 함께 공진화를 거듭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됐다. 향기 좋은 꽃은 꺾여지고 달콤한 열매는 요리됐지만, ‘인간꿀벌’들은 지구 곳곳에 씨앗을 뿌려 더 많은 꽃이 자라게 했다. 꽃의 탄생과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