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수
적대자
경쟁 상대
적병
앙숙
원수지간
오랑캐
d라이브러리
"
적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센서티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훨씬 센서티브했단다. 아무렴. 이서영주로 환상소설이나 운동권소설 혹은 환상
적
운동권소설을 써 왔다. 단행본으로 앤솔로지 ‘이웃집 슈퍼히어로’와 칼럼집 ‘일 못하는 사람 유니온’, 단편집 ‘악어의 맛’이 있다. 환상웹진 ‘거울’에서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거예요. 문학 박사: 소설의 소재가 다양해지는 것은 반가운 일이에요. 수학자나 수학
적
인 내용을 담은 소설이나 만화, 영화 등이 계속해서 나오면 좋겠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신비한 수학사전 알쓸신수!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Part 2. 두 유 노우 ... ...
[게임카페] 장애물 피해 폴짝! 런 게임下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세 달에 걸쳐 만들고 있는 엔드리스 러너를 오늘 완성할 거예요. 달달한 초코 우유를 마시며, 외계인이 우주선을 찾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적
과 외계인에게 힘을 북돋아주는 다이아몬드 아이템을 추가로 만들어 봐요. ...
[게임카페] 하고 싶은 게임, 스스로 만든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느낄 수 있게 게임 밸런스를 맞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롤플레잉 게임에서는 단계별로
적
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플레이어가 본인의 캐릭터를 키우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박 디렉터는 이때 “유의미한 수치를 찾아가는 과정에도 수학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강연이 끝나고 난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있었다.“여러분, 더 있고 싶은 건 알겠지만 옆 방으로 먼저 이동할게요. 센터장님이 기본
적
인 설명을 해줄 겁니다. 그리고 식사를 한 뒤에 다시 와서 저 유리 너머로 들어가볼 겁니다.”안으로 들어가본다는 얘기에 다들 환호성을 질렀다.식사는 먹는 둥 마는 둥이었다. 하림은 눈치를 보다가 식판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둥근 모양으로 보인답니다.인류는 아직 핵은 물론 지각 바로 밑에 있는 맨틀조차 가 본
적
이 없어요. 하지만 ●시추를 통해 맨틀에 도달하려는 계획을 계속 시도하고 있지요. 일본의 지큐호는 2012년 해양지각을 2111m까지 뚫어 해양지각 시추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답니다.●시추 : 지층을 조사 ... ...
Part 3. 런웨이에 선 수학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도움을 받아 다양한 기하학
적
모양의 옷을 만들기로 결심했죠. 서스턴은 기하학을 시각
적
으로 표현하는 데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아마 흔쾌히 이 제안을 받아들였을 거예요. 어쨌든 수학이 다양한 분야와 결합한 좋은 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상! 미식 박사: 안경 벗었다가 또 한참이나 수다를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진행된 소규모의 효과 검증이 아닌 대규모 임상 실험도 필요하다. 유 단장은 “학술
적
인 연구 성과와는 별개로 환자들이 임상에서 널리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실험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쯤 되면 기생충을 공생충으로 불러야할 것 같다. ... ...
[수학뉴스] 컴퓨터, 종이접기 달인에게 도전장 내밀다!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접고 싶은 물체의 3차원 이미지를 주면 도면을 그려주는 프로그램이었어요. 그런데 실용
적
이지 못했어요. 엄청나게 넓은 종이를 이용해야지만 접을 수 있도록 도면이 나왔거든요.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했어요. 그 결과 최소 이음새 수로 종이를 접을 수 있는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조지 프라이스는 이 설명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보기엔 화려하지만, 형편없이 비효율
적
인 무기인 사슴뿔 같은 기관이 진화한 까닭을 개체 선택론으로 설명할 수는 없을까? 마침 프라이스에게는 이 문제를 풀 단서를 알려줄 사람이 있었다. 게임 이론을 진화생물학에 도입한 논문을 막 출간한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