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스페셜
"
기술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년 R&D투자 세계 5위…사회문제해결 R&D 평가체계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등에 대한 논란의 지속적인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경수 과학
기술
혁신본부장은 “5건의 관련 주요 정책 및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들과 긴밀하게 협의·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인간·공감·AI]미생물 세계의 복잡한 퍼즐 AI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마이크로바이옴이 감추고 있던 인체의 비밀을 하나씩 풀어내고 있다. 이선재 광주과학
기술
원(G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사람의 마이크로바이옴은 한명은 사바나 초원이라면 한명은 툰드라일 정도로 생태계가 각자 다르다”며 "AI를 이용하면 사람마다 가진 마이크로바이옴이 각기 몸에 어떤 영향을 ... ...
[랩큐멘터리]생명현상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 제어장치, 코로나 대응 선봉 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모험과 도전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오늘도 연구실마다 교수와 연구원,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열정을 펼치고 있습니다. 연구자 한 명 한 명은 모두 하나하나의 학문입니다 ... ...
한미 과기공동위 확대강화, 과기협력기금 공감대…양국
기술
동맹 '최고수준' 격상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그리피스 현 에너지부 부차관보에게 대리 수여했다. 임 장관은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
인 한미 원자력 연료주기 공동연구(JFCS)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강조하며 과기정통부와 에너지부 간 원자력 등 에너지 분야 전반 협력 확대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화학연, 구조색 인쇄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심해 소재에 기계적 손상이 발생하는 게 문제로 꼽힌다. 연구팀은 새로운 합성
기술
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에너지’에 13일 공개됐다 ... ...
[과학게시판] '이륜차 사고로부터의 국민 안전 확보'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4일 국제전기표준화위원회(IEC) 의료용 전기기기(TC 62)
기술
위원회에 제안한 국제표준 개발안 '인공지능(AI) 머신러닝 기반 의료기기에 대한 성능평가 프로세스' 건이 승인됐다고 밝혔다. ETRI는 “AI 의료기기 성능 평가와 신뢰성 확보에 필요한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 ...
[기고]국회에 과학
기술
혁신특별위원회 설치를 건의한다
2021.12.15
전문위원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 분과위원장 및 총괄위원을 지내고 과학
기술
연합대학원대학교(UST) 책임교수를 지냈다. 지난 2015년에는 제10대 출연연연구발전협의회총연합회(연총) 회장에 선출됐다 ... ...
세계적 수학자 故명효철 고등과학원장·B형간염 백신 개발한 故김정룡 교수 등 8명 과기유공자 신규 지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과학
기술
유공자’로 지정하고 예우함으로써, 과학
기술
인의 명예와 긍지를 높이고 과학
기술
인이 존중받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제정됐다. 2017년부터 올해까지 총 77인이 지정됐다 ... ...
감염병 백신 요소
기술
개발 등 바이오 R&D에 내년 5532억원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2022년 바이오 원천
기술
개발 투자계획.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인 바이오 분야 원천
기술
개발에 5532억원의 뭉칫돈을 투 ... 첨단 디지털
기술
과 융합을 집중 지원해 바이오
기술
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
기술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0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기장과 특히 조는 중국과 한국의 주식 작물이었다. 그러나 벼농사
기술
과 벼 품종 향상으로 쌀수확량이 급증하고 밀을 수입하면서 사람들이 조와 기장, 수수를 찾지 않게 되자 재배면적이 급감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이들 세 작물에 대한 관심이 살아나고 있다. 당뇨,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