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스페셜
"
안정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행기 사고 서바이벌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4.07.11
비행기를 추락시켜서 위치에 따라 충격을 얼마나 받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자동차의
안정
성을 검증하기 위해 하는 충돌 실험과 같다. 다만 비행기 추락 실험은 규모가 자동차에 비할 바 없이 크기 때문에 실제 사례가 많지 않다. 1984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연방항공청(FAA)이 보잉720기를 추락시킨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염기서열을 일컫는다. 텔로미어는 그 자체에는 별다른 유전정보가 없지만 염색체의
안정
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생명 정보를 담은 DNA의 복제 메커니즘이 완벽하지 않은 탓이다. DNA 가닥에는 방향성이 있어서 복제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일어난다. 즉, 새로운 복제가 시작되지 않는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그러나 후속 연구결과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구조가 워낙 복잡하고 불
안정
해 그 실체는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그러나 2009년 마침내 밴더발트데 연구자들이 그 실체를 밝혔다. 즉 아미노산 메티오닌과 아미노산 하이드록시라이신(라이신이 변형된 분자) 사이의 ‘설필리민(sulfilimine) ... ...
“새로운 교육플랫폼을 만들고 싶습니다”
KAIST
l
2014.05.15
어떻게 할 예정인지 회사 운영을 하다 보니 학업과 일을 병행하기가 정말 힘들다. 회사가
안정
돼 있다면 휴가를 쓴다거나 시간제로 일할 수도 있겠KAIST지만, 현재는 힘들 것 같다. 또 지금은 무엇보다도 일이 가장 재밌고 중요하므로 아직은 복학할 마음이 없다. 졸업을 위해선 졸업전시를 준비해야 ... ...
희망멘토, 여성과학기술인 [제8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넘치는 시기에 그녀에게 공무원 생활은 맞지 않았다. 주의의 만류에도 굴하지 않고
안정
적인 직업을 뒤로한 채 벤처기업으로 이직한 뒤, CEO까지 됐다. 그녀는 왜 이런 선택을 하게 됐을까? 그 이야기를 들어 보자.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하기 위해 필요한 건 시간이다. 시간이 흐르면 사건을 좀 더 객관적으로 보고 심리적으로
안정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재난 상황은 여유를 주지 않는다. ■ 긴장형 - 어떤 대처 행동도 하지 않는다 긴장형은 위기 상황에서 그대로 얼어붙은 채 어떤 대처 행동도 하지 않는다. 지난 2011년 3월 일본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않고 시간 즉 누군가가 해결해 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면서 1766년 와트는 좀 더
안정
된 직업인 측량사가 되어 8년 동안 스코틀랜드에 건설된 운하의 경로를 측정하는 일을 맡았다. 물론 측량사 업무를 보는 틈틈이 자신이 개발한 증기기관를 실용화할 수 있는 기자재에 개발 동향에 대해 관심을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수억~수십 억 년 존재할 행성이나 소행성대의 대다수 소행성과는 달리 공전 궤도가 불
안정
한 커리클로의 삶은 수백만~수천만 년 뒤 끝날 가능성이 높다. 사실 커리클로의 고리가 생긴 것도 1000만 년이 안 됐고 그 당시에는 해왕성 너머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 천왕성 중력의 영향으로 ... ...
[만화] 스케이트 날의 과학
KISTI
l
2014.02.14
의외예요.” “사실 모양으로만 보면 가장 날렵하지가 않아. 점프한 뒤 착지할 때
안정
감을 높이기 위해서 스케이트 날의 두께도 4~5mm 정도로 가장 두껍고, 반면에 에지(edge)는 가장 날카로우니까.” “그럼 가장 날렵한 스케이트는 어떤 건데요?” “롱 트랙 스케이트, 즉 스피드스케이트가 가장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시냅스 숫자가 10배 이상 급증했고 그 이후에는 다시 줄어들다가 사춘기에 들어가면서
안정
화됐던 것. 당시 신경과학자들은 그의 발견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지만 20여년이 지나 뇌의 가소성이 인식되면서 시냅스 가지치기(pruning)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즉 태어나서 일 년 사이에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