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조류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더 읽을거리닉 레인, '생명의 도약'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2016.8.)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8N029‘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2015.7.)dl.dong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5년 전 큰 화제가 됐었죠. 또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생명공학 분야의 가장 큰 프로젝트라 불리는 ‘국제 암유전체컨소시엄(ICGC)’에서도 CRG가 허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여성 과학자들을 위한 ‘Women in Science’CRG의 연구원은 400명 정도 됩니다. 재밌게도 스페인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태어나지 않은 2030년생의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광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수명은 후천적 영향을 많이 받아 시시때때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통계적 방식보다는 메틸화 분석법이 훨씬 정확하게 기대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며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약물은 전무한 실정이다. 연구자의 한 명으로서 분발을 다짐해 본다.*이광표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연구단 선임연구원으로 7년째 근무 중이다. 현재 혈액 속 miRNA가 근육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더 읽을거리1) doi:10.1101/gad.263574.1152) doi:10.1016/j.cell.2008.06.0513)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폐광에서 잠을 자는 붉은박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갑자기 변하거나 사람들의 방해로 잠에서 깨어나면 엄청난 에너지를 쓰게 돼요. 그 결과 생명이 위험해져요. 붉은박쥐가 깊은 겨울잠을 잘 수 있도록 서식지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랍니다 ...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가장 작은 나노 크기 장미가 폈다. 최근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박기수 건국대 생물공학과 교수, 김문일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DNA 복합체로 꽃 모양을 합성한 것이다. 이전에도 단백질에 유기질과 무기질을 더한 복합체로 나노 단위의 꽃 모양 입자를 만드는 연구가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실험동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와 가장 비슷한 환경에서 실험하기 위해 만든 인공장기를 ‘오가노이드’라고 한다. 그런데 최근 영국 과학자들이 ‘자궁내막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케임브리지대 병리학과의 애슐리 모펫 교수와 그레이엄 버튼 영양막연구센터장이 이끄는 연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진화했다는 것. 즉 박테리아, 고세균, 진핵생물이 아닌 네 번째 새로운 영역에 속한 세포 생명체 의 후손이라는 것이다. 또 다른 가설은 거대한 바이러스의 게놈이 하나의 생물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고, 여러 숙주 생물에서 유전자를 가져와 점점 커졌다고 설명한다. 이번에 발견된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기독자 무료) ‘바이오 이종 장기’(2010.12)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012N010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2015.3)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503N003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2016.7)dl.dongascience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초기 공룡의 진화를 정의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공룡이 시작되기 직전 단계의 생명체들을 ‘다이노소로몰프’라 부른다. 이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최초의 지배파충류를 일컫는 가상의 동물 ‘테코돈트’가 있지만 명확히 증명된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대부분의 공룡학자들은,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