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생체회로를 만들 수도 있다. 실제로 2007년 하버드 의대 연구자들은 DNA 조각으로 기억을
조절
하는 유전자를 구성해 기억회로를 합성해 내기도 했다. 더 많은 부품을 연결하면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도 있다. 자연계에 없는 복잡한 생물시스템이라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야말로 마음먹은 대로 생각한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철골구조물을 설계할 때는 하중에 따라 과도한 진동이 생기지 않도록 바닥진동수를
조절
한다. 콘크리트 바닥을 받치는 철골의 단면을 키워 강성을 높이는 것이다.건물이 준공된 뒤 진동이 생겨 입주민이 불안해하거나 불편을 겪을 때는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를 써야 한다.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을 ... ...
내 얼굴에 꼭 맞는 안경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얼굴이 길어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안경테의 연결부 형태로도 얼굴의 비율을
조절
할 수 있다. 안경을 쓰면 코는 안경테 연결부 아래로 보이는 길이에 따라 길거나 짧아 보이기 때문이다. 코를 길게 만들수록 얼굴은 갸름하게 보인다. 코를 길게 만들고 싶다면 연결부가 높은 안경을 택해 코가 될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경기 수원시와 소방방재청은 수원의 한 마을에서 빗물 저류 시설의 크기에 따른 홍수
조절
효과를 실험했다. 3000m3의 커다란 저류조 하나를 만들자 기존 하수처리 시설보다 첨두유출량(물이 가장 많이 흘러갈 때의 양)이 15.5% 줄었다. 500m3의 저류조 6개를 나눠 설치하자 첨두유출량이 28% 줄었다.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특정한 방향에서 들리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각 스피커에서 나는 소리를 컴퓨터로
조절
해 오른쪽과 왼쪽 귀에 각각 다른 소리가 들리도록 만들었다. 이 스피커가 있으면 현재 5.1채널 스피커처럼 각각의 스피커를 전후좌우에 설치할 필요 없이 정면에 하나만 설치하면 된다. 마골리스 기술감독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색채를 측정해 색상과 명도, 채도 분포를 정리했다. 작업 현장은 인위적으로 조명을
조절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사진으로 찍어 조사했다. 설문조사로 작업환경의 색채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사항도 조사했다.그 결과 작업 현장은 회색과 같은 무채색이 60% 이상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작업자들은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다 보니 점차 ‘전력의 유연화’ 자체에 관심을 갖게 됐다. 송전량을
조절
하는 FACTS와
조절
이 쉽고 이동에 편리한 HDVC의 장점을 결합하면 어떨까. 바로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이었다.문 교수는 현재 마을 규모로 실증실험을 하고 있는 제주도를 세계 최초의 스마트 그리드 섬으로 만들 계획를 세우고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설명했다.이경종 교수는 “근래에는 작업환경이 좋아지고 근로 시간도 적절히
조절
하는 추세라 화이트 핑거 같은 극심한 장애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과거에 비해 동력공구를 다루는 곳이 많고 헬리콥터나 지게차처럼 수 시간씩 진동에 노출되는 환경이 늘어났기 때문에 인체진동에 대한 관심과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면서 박사학위를 받았다.그는 배아가 발달하는 과정을
조절
하는 메신저RNA(mRNA)를 분리하는 연구를 했는데 당시 생명과학 수준으로는 매우 어려운 과제였다. 무엇보다도 분석하는 데 쓸 시료를 충분히 얻을 수 없었다. 그의 고민을 듣던 동료가 그에게 생쥐의 기형암종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❶ 강한 냄새, 먼지, 꽃가루 등이 코의 점막을 자극한다.❷ 자극이 뇌로 전달돼 호흡을
조절
하는 호흡 중추에 신호를 보낸다.❸ 횡격막이 강하게 수축하면서 많은 양의 공기를 들이마시게 된다.❹ 들이마신 공기와 함께 먼지 같은 자극 물질을 빠른 속도로 내보내기 위해 재채기가 나온다.딸꾹! 앗,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