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부자 되기 미션완료 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어떻게 분산할까? 자산을 분산할 때 따져야 할 것은 자신의 나이, 투자 성향, 현금의 필요성 등입니다. 그중에서 나이는 정말 중요해요. 나이가 어릴수록 돈을 잃어도 다시 회복할 시간이 길어서 위험성이 있더라도 수익성이 높은 투자를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전문가들은 ‘100-나이’ ... ...
- 하늘과 땅 대신 기술로 키운다, 푸드테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고소한 고기를 즐길 수 있다. 자라나길 기다리는 대신 쌈과 고기를 키우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혹시 키워서 생기는 문제는 없을까. 이번 기사에서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하늘과 땅 대신 기술로 키운다, 푸드테크Part1.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Part2. 식물, 공장에서 ...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평가를 토대로 새로운 규제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항생제에 대한 새로운 기준도 필요하다. 현재 육류는 체내 항생제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도축하기 한 달 전부터 항생제 휴지 기간을 갖는다. 세포 추출 시엔 어떤 기준을 적용할지, 배양할 때 세균 성장을 막기 위해 넣는 항생제는 어떻게 ... ...
- 엔지니어의 손 끝, 누리호 심장을 빚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번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친다. 최종 발사체에 탑재될 때까지 계속 보수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연소시험 후에는 분해해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한 뒤 다시 조립해야 한다. 엔진 설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했다. 매주 항우연 연구팀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엔지니어들이 모여 아이디어를 ...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원하는 형태의 분자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인 원자를 잘 이어줄 도구가 필요하다. 올해 노벨 화학상은 분자를 만드는 정확하고 새로운 도구, 비대칭 유기촉매 분야를 개척한 베냐민 리스트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교수와 데이비드 맥밀런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에게 돌아갔다. ... ...
- [NST, 모두의 연구]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별 관측에 영향을 받기에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세밀하게 깎는 기술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런 기술을 가진 회사는 손에 꼽았다. 연구비도 충분하지 않았다. 다행히 그린광학이라는 기업이 재료비만 받고 반사경을 제작해 줬다. 덕분에 2억 원에 망원경을 만들 수 있었다. 스바루 ... ...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없던 유기물을 합성하는 데 사용된다.유기합성의 핵심, 촉매의 변신촉매는 화학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낮춰 반응이 더 쉽게 이뤄지도록 한다. 일반적인 반응을 매개하기도 하지만, 구조를 잘 조절하면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일어나기 어려운 반응을 일으키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유기합성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기자 저희 가족은 라벨이 없는 1.5L 생수를 사 먹어요. 생각해 보니, 라벨은 꼭 필요한 게 아니니, 라벨을 없애면 환경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첫 줍깅 탐사!줍깅탐사박시은 기자바닷가에서 첫 줍깅을 했어요. 쓰레기 갯수를 다 셀 순 없었지만, 엄청 많았어요. 특히 담배꽁초와 철못이 많았어요.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는 레고 부품의 종류만 5000여 개예요. 그러니 작업 과정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지요. 게다가 전 국내에서 1호 레고 공인 작가라 참고할 만한 작업 도구나 프로그램이 없었어요. 그래서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들었어요. 대학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공을 한 게 도움이 됐지요. 제가 만든 것 ... ...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불의 제왕 섭섭박사! 열을 다스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해요. 이를 위해서는 열을 식혀주는 장치인 냉각소자가 필요하고요. 하지만 이 냉각소자는 값도 비싸고 85℃ 이상 오르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어요. 또, 전력소모도 컸지요.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100℃ 이상에서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반도체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