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뉴스
"
구분
"(으)로 총 2,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웃한 은하가 은하를 변화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은하들의 운동방향의 분포를 겹쳤다.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는 운동과 가까워지는 운동을
구분
해 은하 회전 방향이 이웃 은하의 평균 운동방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은하 간의 상호작용은 회전 운동 외에도 다른 흔적을 남긴다.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의 나이 분포를 ... ...
단백질을 색색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배열 간격과 관계있음도 확인했다. 장 교수는 “생명연구에 필수적인 바이오 물질의
구분
과 추적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핵심기술”이라며 “나노공학, 전자공학, 뇌과학 분야 전문가들이 융합 연구한 결과로 뇌질환 연구와 치료에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1일 ... ...
얼굴 인식 AI 예술작품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작품이다. 관객이 존재하는 실재와 AI가 처리하는 가상세계를
구분
하는 상황을 연출한다. 관객이 참여해 완성하는 참여형 작품인 '조합되는 군상'도 한편에 전시됐다. 이 작품은 관객이 디스플레이 앞에 준비된 재료로 직접 얼굴을 만들어 보여주면 AI가 데이터 처리를 거쳐 ... ...
‘빛 회전방향’ 신호로 쓰는 차세대 통신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반도체 층으로 전자가 각기 다른 양으로 이동하는데, 이 성질을 통해 편광의 방향을
구분
하게 된다. 이번 연구는 원편광을 간단한 구조의 소자로 감지할 수 있고 제작도 간편한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차세대 암호화소자나 광통신, 바이오센서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음의 우생학
2019.02.17
달리 실체가 없고 밈이 퍼지는 과정도 유전자와는 다릅니다. 밈끼리 서로 분명하게
구분
되지도 않습니다. 인지와 행동은 유전자에 의해 상당히 결정되는데, 밈과 유전자가 어떤 관계를 맺는지도 불명확합니다. 그런데도 직관적으로 잘 이해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밈 이론을 받아들였습니다. ... ...
"우주에서 전기 만들자" 우주 태양광 연구에 세계가 뛰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00W를 넘지 않는다. 우주에서 태양광을 하면 태양에너지를 그대로 받을 뿐 아니라 낮과 밤
구분
없이 발전가능하다. 김승조 전 항우연 원장(서울대 명예교수)은 “우주 태양광발전은 하루의 99%을 모두 발전에 쓸 수 있다”며 “지상에 비해 효율이 7배 이상”이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제공 우주개발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고통 받고 있는 동물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사람과 달리, 동물은 플라스틱과 음식을
구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훨씬 더 위험합니다.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먹은 동물들은 배부름을 느끼고 음식을 제대로 섭취하지 않아 영양실조로 죽습니다. 헤엄을 치다가 그물이나 플라스틱 고리에 몸이 ... ...
제12회 아산의학상에 김빛내리·김종성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선정된 한범 교수는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를 찾아 그 특성을
구분
하는 통계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은지 교수는 시신경과 시신경 주변의 혈관구조에 대한 영상연구를 통해 녹내장의 발병 원인을 재조명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진단과 치료의 근거를 ... ...
로봇의 다음 정복대상은 '젠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구분
하듯 빼내기 쉬운 블록과 어려운 블록을 힘 센서와 카메라 영상을 통해 얻은 정보로
구분
했다. 시각과 촉각 정보를 통해 학습한 로봇은 학습 전 56.4%였던 블록을 빼내는 확률을 학습 후 88.2%까지 올렸다. 탑이 무너지기 전에 얼마나 많은 블록을 뺄 수 있는지를 여러 명의 피실험자와 비교했을 ... ...
자기장·음파까지 느끼는 '인공피부'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따라 구리선에 전해지는 전류 신호가 다르기 때문에 자기장, 음파, 압력을 탐지 및
구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걷거나 달리거나 점프하거나 수영을 하거나 등 사람의 행동에 따라서도 전류 신호가 달라지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루슬링 교수는 “피부가 기존의 기능을 통해 감지해내는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