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뉴스
"
병
"(으)로 총 2,547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으로 통증 판단할 과학적 기준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개발한 맥진기를 이용해 맥파의 깊이와 세기 등 지표를 측정했다. 또 3명의 한의사가
병
을 진단했다. 연구결과, 난포기와 황체기에서는 환자와 환자가 아닌 사람 사이의 맥파 지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월경기에는 환자의 맥이 더 긴장되고 깊이가 얕으며 가장 큰 맥파가 나타날 때의 압력 ... ...
[이정아의 미래
병
원]3D재건외과·BCI재활의학과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치료하기 위해 하나로 모이듯이 말이다. 기존
병
원에서 보았던 진료과와 다른 점은 미래
병
원에서는 의사뿐만 아니라 공학자의 역할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진다는 사실이다 ... ...
"추석 전후 조심하세요"…가을철 유의해야 할 감염질환 톱3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말했다. 쯔쯔가무시는 아직까지 없지만, SFTS는 사람간 전염 사례가 있다. 환자를 간
병
하는 가족 또는 의료진에게 전염된 것이다. 김 교수는 "대개 중증환자가 흘린 혈액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염되므로 맨손으로 감염자의 혈액을 만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들쥐 등 야생 설치류는 절대 ... ...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 브레인'이 뇌파 신호 보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뇌 세포 간 신호 전달 과정을 연구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자폐증이나 뇌전증, 조현
병
등 뇌 질환이 발생하는 원인과 과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스템셀’ 8월 29일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이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뇌'에서 포착한 전기신호. ... ...
[인류와 질
병
]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가장 흔하지만, 바이킹의 광대한 항해 영역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서도 낮은 빈도로 발
병
하는 것일까? 만약 그렇다면 아마 고대 바이킹인들은 항상 괴상한 신경 증상에 시달렸을 것이다. 갑작스러운 시력 상실이나 사지 마비는 그들에게 일상적인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다발성 경화증이 바이킹 ... ...
암 중심부까지 약물 보내는 '트로이 목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체의 다양한 질환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병
에도 적용할수 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현재 기술로 약물전달이 어려운 난치성 질환 치료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22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여름 불청객 비브리오 패혈증 원인은 '시한폭탄' 독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독소는 다양한
병
원균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번 성과를 여러
병
원균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라며 “독성 유발 인자와 인체 단백질의 결합을 막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9일자에 발표됐다. ... ...
국내 연구진 ‘살인진드기
병
’ 예방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진행돼 사망에 이르는 사례도 있었다. 국내에서는 2013년 처음으로 살인진드기
병
환자가 발생했다. 매년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진드기 접촉 최소화를 통한 예방 외에는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31종의 서로 다른 SFTS 바이러스의 유전자 서열에서 공통 서열을 도출해 백신 ... ...
꿈의 물질 그래핀에 '모기 방어' 능력 추가돼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모기는 피를 빠는 것 외에도 말라리아 등
병
을 옮기는 주요 매개체로 모기를 잡는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살충제 등 화학적 방법이 동원되는 경우 다른 부작용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게 문제다. 이 때문에 모기를 물리적으로 막는 방법들이 ... ...
WHO "식수 속 미세플라스틱 위험 수준 아냐" 학계선 추가 연구 필요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전혀 없었지만, 어떤
병
들은 수백 수천 개가 들어 있기도 했다. 동일한 브랜드여도
병
마다 플라스틱 입자의 개수가 천차만별이었다. 연구팀은 각 브랜드 회사에 문의한 결과, 식수 내 미세플라스틱 입자에 대한 규정이 없고 입자가 들어 있는지 테스트할 방법조차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