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스페셜
"
지구
"(으)로 총 1,97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갈탄 소비국 독일도 결심했다 "2038년 갈탄 화력발전 OUT"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대표적 발전 방식인 갈탄 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을 모두 완전히 종료하기로 결정한
지구
상의 첫 번째 국가가 됐다. 올라프 숄츠 독일 재무부장관, 스벤자 슐츠 환경부장관, 페터 알트마이어 경제부장관은 15일 밤(현지시간)부터 시작된 마라톤 논의 끝에 16일 “2038년까지 독일 내에서 갈탄을 이용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2020.01.14
통해 보충해야 했고 따라서 기초대사율이 높았다. 그러나 점점 난방이 좋아지면서(
지구
온난화도 기여했을까?) 열생성의 필요성이 덜해 기초대사율이 줄었고 그 결과 체온도 낮아졌다는 것이다. 10년에 0.03도씩 체온이 낮아지는 건 이런 환경변화에 대한 생리 적응이라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이 ... ...
스페이스X 첫 달 여행자 함께 갈 여성 찾는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이용하고 있다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낸다. 이들을 실어나를 스페이스X의 스타십은
지구
외 행성으로 처음 민간인을 실어나르는 발사체다. 길이 50m, 지름 9m의 중형 발사체로 150t의 탑재체를 실을 수 있다. ‘수퍼헤비’라고 이름 붙은, 지름 9m에 길이 68m의 거대한 발사체의 상단으로 발사된다. 202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촬영한
지구
감마선과 자외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0일 ‘뇌우’ 위에서 폭발하는 ‘
지구
감마선’의 모습을 담은 그림을 표지로 실었다. 국제우주 ... 감마선과 엘브 현상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며 “번개가 만들어내는 높은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정해진 질량을 관성질량이라 한다. 또 다른 방법은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물체를
지구
가 얼마나 큰 힘으로 당기는지를 비교 측정하면 그 물체의 질량을 정할 수 있다. 사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몸무게를 재는 것도 이 방식이다. 이처럼 중력을 이용해 정의되는 질량을 중력질량이라 부른다. ... ...
멸종위기종 고래, 위성으로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남방큰돌고래 무리. 동아사이언스DB 미국 연구진이 멸종위기종인 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위성으로 우주에서 고래 개체수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 ...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특별한 알고리즘을 개발할 계획이다. 최종 목표는 물론 전
지구
상의 고래 이동을 감시하는 것이다 ... ...
불타는 호주…기후변화는 이미 당신 옆에 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못하도록 방해 공작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지구
평균 기후가 1.5도 이하로 상승케 하는 필사적 노력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다. 호주 국민은 아침에 일어나 TV를 켜고 신문을 읽으며, 또는 집 밖을 바라보며 눈앞에 다가온 기후변화가 명백한 현실임을 ... ...
위성인터넷 시대 한 발 더 성큼…스타링크 위성 60기 세 번째로 하늘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정지궤도 위성보다
지구
와의 거리가 가깝고 지연속도는 짧다. 하지만
지구
와 가까운만큼
지구
를 도는 속도가 빨라 특정 지역에 인터넷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에 적절치 않다. 수천기의 위성을 띄워 연속적으로 인터넷을 제공해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게 머스크의 구상이다. 계획대로라면 인터넷 ... ...
[호주 대화재] 최대 피해자는 야생동물…국가 상징 코알라 30% 떼죽음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퍼진 야생 고양이와 붉은 여우에게 잡아먹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화재는
지구
의 생물다양성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됐다. 호주는 캥거루와 코알라, 오리너구리와 같은 호주 대륙에서만 서식하는 토착종이 많다. 호주에만 300여 종의 포유류와 830여 종의 조류,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 ...
[호주 대화재] "모든 걸 태운 뒤 바다에 닿아야 멈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붙는 나무와 식물이 건조해질수록 불이 붙기 쉬우며 더 뜨겁게 탄다고 설명했다. 그는 “(
지구
온난화로) 불이 붙기 쉬운 나무와 식물들이 많아졌다”며 “그와 동시에 더 강렬하게 타기 때문에 산불 진화가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악순환도 계속된다. 강렬하게 솟아오른 불은 근처의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