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흔히 기억력이 안 좋은 사람에게 ‘까마귀 고기를 먹었느냐’고 이야기 하는데, 이 비유가 과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대 인지생물학과 자나 뮐러 박사팀은 까마귀가 얼마나 오랫동안 적을 기억하는지 실험했다.연구팀은 훈련된 까마귀과 레이븐 7마리에게 빵을 주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미국, 이탈리아 등 5개국 공동연구팀이 목성탐사선 ‘주노’가 보내온 데이터를 통해 목성의 극지방에 있는 지름 1000km 안팎의 거대 소용돌이를 발견하고, 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2011년 발사한 탐사선 주노는 작년 7월 4일 목성에 도착한 뒤 목성의 표면과 자기 ...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요즘 ‘냉장고 파먹기’가 유행이라는데요. 막상 따라하려고 보면 냉장고 안에 온통 유통기한 지난 식재료들뿐입니다. 여름이라고 과감히 버리기엔, 아직 포장도 안 뜯었고 색도 그대로인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아이스크림, 영하 18℃ 이하면 안전하다?유통기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식품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4월 1일 만우절이 점점 다가오자 섭섭박사님은 아이들에게 자신이 초능력자라고 말했어요. 아이들은 섭섭박사님의 말을 의심하며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면 믿겠다고 말했지요. 그러자 섭섭박사님은 당장 보여 주겠다며 큰소리를 쳤어요. 과연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힌트 하나. ... ...
- [Career] 사람과 컴퓨터를 잇는 다리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거대한 테이블이 눈에 띄었다. 평범해 보였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니 디스플레이였다. 화면을 꾹꾹 누르고 있자니 서진욱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가 멀리서 멀티탭을 가지고 와 테이블의 전원을 켰다. 익숙한 윈도우 시작 화면이 뜨고, 여러 단어들이 서로 다른 크기로 배열됐다. 서 교수가 화면 속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오래전부터 쌀을 주식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또 한반도에서 자라는 밀은 글루텐이 적은 탓에 반죽을 해도 잘 뭉쳐지지 않았다. 그래서 194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이나 서양에서 유래하는 빵을 먹었다. 그러다가 1950년대부터는 개인 제과점이 성장한 제빵회사가 여럿 탄생했다. 이 가운데 지금도 국내 ...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등장하고 나서 전쟁이 사라진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의 총성이 끊이지 않는다. 미래에도 없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 어차피 막을 수 없다면 늘 실제 상황처럼 예측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뉴질랜드의 물리학자이자 군사이론가인 숀 고울리는 무질서해 보이는 현대 ... ...
- [매스미디어] 캐리비안의 해적 - 죽은자는 말이 없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캐리비안의 해적에서 가장 먼저 생각나는 캐릭터는 단연 캡틴 잭 스패로우다. 영화의 인기는 이 캐릭터에서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이상한 손동작과 걸음걸이, 약간은 모자라 보이는 모습까지. 잭이라는 캐릭터는 처음 이 시리즈가 나온 2003년부터 많은 사람을 매료시켰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비행시간이 최대 23분에 불과하다. 아직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비행하는 모습을 공개한 적은 없다. 이 교수는 “헬리콥터보다 소음과 진동이 적고 조종하기 쉽다는 장점 때문에 드론을 이용해 플라잉카를 만들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드론은 전기로 구동하는 모터를 써서 소음이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다양한 곤충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애벌레들이 플라스틱을 먹어 없앨 수 있으니, 플라스틱 쓰레기를 없애기 위해 애벌레들을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