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핵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중추
center
d라이브러리
"
중심
"(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수학교육은 입시제도나 교육현장 밖의 입장에 따라 변해왔습니다. 앞으로는 학교가
중심
이 돼서 수학교육이 제자리를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교육과정, 두 번의 교육과정 개편에 교사로 직접 참여한 최수일 수학교육연구소 연구소장의 이야기를 새겨봄직하다. “가장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실린 논문 ‘온라인 구전과 영화 매출 간 상호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 영화 산업을
중심
으로’에 따르면, 온라인에 입소문이 많이 퍼지면 영화가 개봉한 뒤 일주일 동안 관객을 많이 모으는 데 도움이 된다. 그 다음부터는 댓글과 별점 같은 평가 내용이 긍정적일수록 관객 수가 늘어난다. 그럼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뜻인 셈이지요. 최상단에 올라 주위를 둘러보면, 가운데 시바신을 모신 중앙신전을
중심
으로 탑 네 개가 정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에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프놈바깽에는 도대체 탑이 몇 개나 있었을까요? 지상층부터 차례로 세어 보면 탑의 수는 모두 108개(지상층 44개 + 5개 단에 60개 +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에이지 오브 울트론’이 천만 관객을 넘어서며 인기를 끌고 있다. 어벤져스 흥행의
중심
에는 한국인 일러스트 작가가 있다. 안정식 작가는 현재 영화의 원작인 마블코믹스의 그래픽 노블(소설 만화) 표지를 그리고 있다. 작가는 불타는 금요일(5월 15일), 기자를 집으로 초대했다. 귀를 쫑긋 접은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오해다. 태양은 여전히 미스터리가 많은 별이다. 표면과 외곽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중심
으로 새롭게 밝혀지고 있는 태양의 진면목을 알아봤다.눈이 부시도록 밝은 물체는 때때로 주변의 다른 대상을 강렬한 빛으로 가려 보이지 않게 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자주, 자신이 내는 빛의 장막에 스스로가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사이의 각도는 일정하게 45°입니다. 다리가 8개니까 45°에 8을 곱하면 360°겠죠? 머리를
중심
으로 제 몸의 일부를 45°만큼 회전하면 다른 부분과 정확히 겹친답니다. 이런 구조를 ‘회전대칭 구조’라고 합니다. 사방에 규칙적으로 다리가 있으니 어디로든 갈 수 있답니다. 빨리 이동 방향을 바꿀 수도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1층 기둥보다 약간 안쪽에 세우는 방법이다. 위로 갈수록 조금씩 좁아지기 때문에 무게
중심
이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튼튼하고 보기에도 안정감이 느껴진다.확률로 구조를 지켜라이제는 현대식 공법을 활용해 예전보다 한옥을 더 높게 지을 수 있다. 하지만 그래도 불안한 것은 사실. 우리가 지은 ... ...
피곤한 투수, 팬들은 불안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하에 5월 13일까지 KBO 리그 불펜 투수 중 가장 피로도가 높은 선수는 누구일까.논란의
중심
에 선 권혁이 압도적인 수치로 1위를 기 록했다. 권혁은 가장 많은 경기(22경기)에 나왔고 누 적 피로도는 804가 넘었다. 누적 피로도는 경기에 등 판할 때마다 생기는 피로도를 모두 더한 것이다. 불펜 투수 중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아직도 잊지 못합니다.“배움의 권리를 즐겨라”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이 너무 이론
중심
이라고 느낄 수도 있지만, 현장에 나가보면 생각보다 큰 도움이 돼요. 저처럼 박사 과정까지 마친 사람들도 전공 분야가 아니면 학사 때 배웠던 내용이 전부거든요. 그래서 학사과정 때 기초적인 공부를 열심히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거대한 규모지요. 빛이 불투명하고 가벼운 플라스틱 원반의 가장자리에서 퍼졌다가 다시
중심
에 모이는 원리랍니다. 원반이 매우 크기 때문에 허블보다 1000배나 높은 집광력과 분해능을 자랑할 것으로 보여요. 이건 무려 지상 4만km 높이에서 지표면에 있는 토끼 한 마리까지 볼 수 있는 성능이에요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