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있는 데다, 너무 작고 어둡거든요. 100광년 정도 떨어진 지구형 행성의 표면을 보려면 지구보다 큰 망원경이 필요할 정도지요. 그런데 이렇게 큰 렌즈 없이 외계행성을 직접 관측할 수 있다면요? 나사 제트추진연구소의 슬라바 투리셰프 박사는 태양의 ‘중력렌즈 효과’를 사용해 외계행성을 직접 ... ...
- [과학뉴스] 밝혀진 X자 은하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지구에서 8억 광년 떨어진 곳엔 특이한 은하 ‘PKS 2014-55’가 있어요. 대부분의 은하는 블랙홀에서 나온 물질이 직선 모양이지만 PKS 2014-55는 블랙홀을 중심으로 뿜어져 나온 물질이 X자 모양을 하고 있어요. 천문학자들은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블랙홀이 있다고 생각해요. 블랙홀은 엄청난 중력으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레이터, 발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크레이터에 물이 고여 호수가 되는 경우도 있는데, 백두산 천지가 대표적인 예지요. 지구에서 가장 커다란 크레이터는 운석 충돌로 인해 발생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브레드포트 크레이터’예요. 직경이 무려 300km에 달하지요. 우리나라의 동서 폭이 300km이고, 남북 길이가 400km 정도 되니까, 대략 ... ...
- [질문하면 대답해 ZOOM] 우주에서는 음식이 썩지 않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결과를 발표했어요. 그 결과 4종 중 3종이 여전히 살아남은 것을 확인했지요. 우주인들은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우주에 오랜 시간 머무는데, 미생물 때문에 음식이 상하면 어쩌냐고요? 이런 위험을 막기 위해 우주 식량은 미생물이 잘 자라지 않도록 수분을 날려버리는 동결건조 방식을 이용해 ... ...
- [수학뉴스] 우주비행사 인체 메커니즘 수학 모형으로 밝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일어나는지를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미세중력 조건에서 일어나는 심혈관계 변화를 지구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미세중력 환경에서 산소 소모량, 동맥압 등의 심장 기능이 어떻게 감소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우주 환경에서 나타나는 신체적인 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산한 ...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개발자들은 게임 세계의 중력을 지구의 중력보다 훨씬 강하게 설정했다. 물리 엔진이 지구와 유사한 수준의 중력을 구현한다면 점프 후에 땅으로 되돌아오는 시간이 너무 길어 지루할 것이기 때문이다.폴 가이즈 개발에 참여한 조 월시 미디어토닉 수석 게임디자이너는 “캐릭터는 강한 중력 때문에 ...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나온다.펜로즈 교수의 증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먼저 갇힌 표면의 개념을 정의하자. 지구 위의 어두운 실험실 안, 양면에서 빛을 내는 구 모양의 전등을 생각하자. 구형 전등을 잠깐 반짝이면 (그리고 빛의 운동을 볼 수 있다면) 전등을 이루는 구면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 두 종류의 구형 빛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e(55 Cancri e)’를 살펴볼 거야. 게자리 55 e는 표면의 온도가 2000℃ 이상인 아주 뜨거운 슈퍼지구로 잘 알려져 있지. 또, 불타는 얼음 행성이라고 불리는 ‘글리제 436 b(GJ 436 b)’ 등도 관찰 대상으로 꼽히고 있단다. 테스트에서 보여준 내 능력은 맛보기 수준에 불과해. 앞으로 우주에서 활약할 내 모습,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몰아쉬며 내딛는 여정을 소개합니다! 핵물리학자가 ‘미니 우주’를 만드는 이유태양이 지구에서 조금씩 멀어지고 있다는 것, 알고 있나요? 1929년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은 천체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허블의 말처럼 우주가 계속 커지고 있었다면 ... ...
- [에디터노트] 같은 구름 아래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많아졌습니다. 클라우드 기술이 바탕이 된 화상회의로 선생님과 학급 친구들을 만나고, 지구 반대편 연구자들이 클라우드에 연구자료를 공유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함께 연구합니다. ‘집콕’ 생활로 지친 사람들은 매일 저녁 클라우드 게임에 모여 스트레스를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