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뉴스
"
공중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년째 혁명 진행 중인 초전도 기술
2015.04.05
흥미진진하게 초전도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사진이다. 금속 구가
공중
부양하고 있는 표지사진을 비롯해 책 속에 있는 거의 모든 사진을 저자가 직접 찍었다. 마치 전문 사진작가가 찍은 사진처럼 정교한 사진들은 저자가 자신의 30년 연구 역사를 정리하듯 이 책을 얼마나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시작한 뒤라서 고사목을 치우는 방제는 의미가 없다. 대신 매개곤충을 잡기 위해
공중
에서 약제를 뿌리는 항공방제를 하거나, 사람이 살수차를 갖고 들어가 약제를 뿌리는 지상 방제를 한다. ● 같은 규모로 3~4년 방제해야 효과 산림청 제공 3월 11일 경기도 광주 곤지암읍의 야산에서는 1차 방제가 ... ...
“의사 그만두고 더 많은 사람 도울 ‘스마트 벨트’ 만들어요”
2015.03.25
뒤 그는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건강관리 헬스앱을 만드는 청년벤처에 뛰어들었다.
공중
보건의 복무 중 저소득 중장년층의 건강을 원격 관리하기 위해 매년 30억 원이 투입되는 ‘건강관리서비스’의 반응이 미진한 데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기존 운동 관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에 게임을 ... ...
미세먼지에 중년 여성 건강 위험!
2015.03.23
여성의 경우 PAH 노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역학·
공중
보건저널(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월 10일자에 실렸다.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봤을 법한 이
공중
전화 부스의 창틀은 DNA 모양을 하고 있다. DNA와 영국을 상징하는
공중
전화 부스를 결합한 이유는 영국인 DNA의 상세 구조를 밝힌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의 인구학적 역사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영국 대표 학술지 네이처의 ... ...
습한 곳에 가면 저절로 분리막 만들어져
2015.03.11
기공이 있는 3차원 구조가 된다. 연구팀은 장마철 실험실에서 우연히 엎질러진 블록
공중
합체가 공기 중 물과 반응해 스스로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형성한 것을 보고 영감을 얻어 이같은 기술을 개발했다. 실험에서 설정한 상대습도는 100%로 우리나라 여름 장마철의 습도보다 살짝 높은 정도다. ... ...
장갑 끼고 드론 조종해봤나
2015.02.27
한다. -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제공 “위이잉~.”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를 붙이자
공중
에 떠 있던 무인기(드론)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번엔 검지 대신 약지와 엄지를 맞닿게 하자 드론이 반대 방향으로 날아갔다. 딱딱하고 무거운 컨트롤러 없이 장갑을 낀 채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 ...
미세먼지, 뱃속의 아기 노린다
과학동아
l
2015.02.11
많이 나타났다. 임신 중 미세먼지 노출은 자폐증 발생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국 하버드
공중
보건대 마크 웨이스코프 교수팀은 1989년부터 11만6430여 명의 여성 간호사들을 추적조사(코호트 연구)했다. 그 결과 임신 중 초미세먼지(PM2.5)에 노출된 여성일수록 자녀가 자폐증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는 ... ...
손톱 크기 초소형 로봇 등장, 날개짓 1초 120회...어디에 쓰는 물건인가 봤더니
동아닷컴
l
2015.02.04
로봇은 무게가 0.08 그램에 불과하며, 1초에 120차례나 파닥이는 날개 힘으로 수직 이륙과
공중
선회는 물론, 측면 비행도 가능하다. 해당 로봇 개발자는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환경에 들어가 로봇이 피해를 측정하거나 사고 생존자를 수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손톱 크기 ... ...
바오밥나무와 사랑에 빠진 식물학자
2015.01.18
회사의 웬델 무어라는 사람이 설계한 장치로, 배낭처럼 추진기를 등에 짊어지고
공중
을 비행하는 방식이다. 무어의 뒤를 이어 로켓 벨트를 연구한 해롤드 그레이엄은 1961년 4월 20일 처음으로 로켓 벨트를 이용한 비행에 성공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해리포터의 투명망토는 메타물질을, 타임머신은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