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코로나19 변종 초강력 전염성 첫 연구한 재미 최혜련 교수
연합뉴스
l
2020.06.16
▲ 로스앨러모스연구소는 D614G가 급속도로 퍼진 것까지만 발견했다. 이 발견을 놓고
학계
의견은 둘로 나뉘었다. 하나는 이 변이 때문에 급속도로 확산했다는 것이고, 또다른 쪽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었다. 이번 연구는 이 변이가 급속한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모니터링이 돼 왔지만, 최근까지도 특이사항이 없다는 게 국내외 바이러스
학계
및 게놈
학계
의 입장이었다. 유권천 중앙방역대책본부 진단분석관리단장은 15일 오후 방대본 정례브리핑에서 “6월 3일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서도 이런 변이가 아직 의미있는 변화라고 보지 않는다고 언급했다”며 ... ...
[팩트체크]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0.06.13
설명했습니다. 북극환류대와 소규모 환류대 등 환류대는 여러 개가 더 있지만,
학계
에서는 논문에서처럼 기본이 되는 환류대 5곳을 조사해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해양 표면의 미세플라스틱 양을 추정한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바다에는 지역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이 평균적으로 1m3당 0.001~1개 ... ...
1억1000만년 전 한반도에선 두발로 걷는 악어가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높아졌기 때문이다. 날개를 들고 뒷다리로 걷는 익룡의 존재는 지난 120년간 고생물
학계
의 논란거리 중 하나였다. 김 교수와 임 박사팀이 2012년 이들 두 지역의 화석을 두 발로 걸은 익룡으로 분류하면서 두 발로 걸은 익룡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았는데, 이번 연구로 이들을 악어로 재분류할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사람을 성공시키기는 어려운 일이나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앞길을 막기는 쉬운 법이다.
학계
에서도 “열 사람의 친구를 만드는 것보다 한 사람의 원수를 만들지 않는 것이 더 낫다.”는 격언이 금과옥조로 여겨진다. 그래도 멘델레예프는 101번 원소 멘델레븀(Md)에 자신의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 ...
달 낙석 13만6610개 담은 '낙석지도' 보니.. "달 표면 지금도 변하는 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낙석이 고르게 퍼져 있다. NASA 제공 달의 낙석은 기존 학설과 달리 소행성의 영향이 컸다.
학계
에서는 낙석은 주로 달 지진의 영향일 것으로 예측했는데, 분석 결과 소행성 충돌로 발생한 낙석이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소행성이 달에 충돌하면 일부 바위가 곧바로 낙석으로 이어지나 시간이 지난 ... ...
3500년전 이역만리 우물서 숨진 고대인 진짜 고향 게놈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또 다른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동시에 공개되며
학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인 남중국과 동남아인 혼혈 사실도 밝혀 고유전체학은 국내와 아시아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는 아시아인 게놈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비즈니스 모델과 과
학계
의 파국
2020.06.04
/blogs.lse.ac.uk/impactofsocialsciences/2013/12/11/how-academia-resembles-a-drug-gang/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과
학계
의 인력구조는 양극화되고 있다. 정규직은 줄어들고, 비정규직은 증가해 절반 이상의 직업을 차지했다. https://blogs.lse.ac.uk/impactofsocialsciences/2013/12/11/how-academia-resembles-a-drug-gang/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 ...
'작은 것이 맵다'…구경 6㎝ 망원경으로 41광년 밖 행성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3
가능할 줄 알았던 태양계 밖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것으로
학계
에 보고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초소형 위성의 기술 시연을 위해 지구 저궤도에 배치된 '아스테리아'(ASTERIA)가 지구에서 약 41광년 떨어진 슈퍼지구급 외계행성 '게자리 55 e'(55 Cancri e)의 ... ...
열대 태평양 강수량 증가 규명 예상욱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기 순환의 구조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후
학계
에 제시하고 관련 논문을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9년 3월호에 발표했다. 예상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열대 지역의 워커 순환과 해들리 순환이 그 지역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