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스페셜
"
부분
"(으)로 총 1,93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반려동물과의 이별, 준비하셨나요
2018.12.08
좋겠다. 기억하고 추억하기 슬픔의 해결책은 뭘까? 우선 반려동물의 상실에 삶의 큰
부분
을 잃었다거나 아무 것도 할 수 없다고 느끼는 등의 반응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 가족을 잃은 것과 마찬가지임을 본인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함께 인지하는 것이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연결부위)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반도체 회로 역시 각각의 노드(회로가 연결된
부분
)의 시작과 끝이 분명하게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11월 2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신경계와 닮은 물리적 네트워크를 설계한 뒤 3D(입체)프린팅 기술로 인쇄한 모형 뇌 신경망을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앞으로 누리호의 근간이 되는 엔진으로 보시면 된다. 우주발사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은 추진 시스템인데 우리가 설계해서 계획했던 추진 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했다고 확인한 것이다. 앞으로도 계획하고 설계 제작했던 엔진을 계속 시험할 계획이고 잘 넘어가면 우리나라도 곧 우주발사체 갖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아래는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면역’에 실린 부고의 한
부분
이다. “찰리(찰스의 애칭) 경력의 마지막 장은 아마도 가장 창조적이었을 것이다. 2012년 그는 포스텍에서 IBS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장이 됐다. 이곳에서 그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세계의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낙하산의 공기저항 효과를 낼 수 없을 것 같다. 참고로 어떤 단면에서 뚫려 있는
부분
의 면적을 전체 면적으로 나눈 값을 ‘공극률(porosity)’이라고 부르는데, 위에서 본 갓털의 공극률은 평균 0.916에 이른다. 필라멘트 100여 개가 차지한 면적의 비율이 원반의 8.4%에 불과하다는 말이다.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④차세대 발사체 개발 나서는 일본, 소형발사체 문 두드리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민간 자본 진입을 허용한 이래 현재까지 10여 개에 민간기업이 설립돼 활동 중이다. 대
부분
이 엔진 개발 등 기초연구에 몰입하고 있지만, ‘원스페이스’나 ‘아이스페이스’ 등 일부 기업은 엔진 개발을 끝내고 체계종합을 하며 시험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가장 도전적인 기업은 지난 27일 첫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②신뢰성의 상징 아리안스페이스가 세대교체 감행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 실패는 단 두 번뿐이었다. 일부 탑재체가 손상되거나 제 궤도에 한 번에 오르지 못한 ‘
부분
성공’이 3번 더 있기는 하다. 아리안 5가 왜 발사체 시장에서 ‘신뢰성의 상징’으로 불리는 지 잘 알 수 있는 사례다. 참고로 일본의 주력 발사체 H-2A는 39번 발사에 38번 성공,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 9이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건설까지 민간 확대 미국은 우주선 발사뿐 아니라 국제우주정거장(ISS) 건설 등 다양한
부분
에서 민간 기업과 정부가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차세대 기술 개발 파트너십(넥스트스텝)을 통해 보잉과 록히드마틴, 오비털ATK 등 6개 민간 기업이 태양광(光)을 이용한 우주선 추진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 ... ...
‘대중화’ 갈길 먼 수소車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든다. 수소차 대중화를 위해서는 꼭 해결해야 할
부분
이다. 이 교수는 “수소차가 좀 뜬다고 무조건적인 수소차 육성 정책을 남발할 게 아니라, 꾸준히 기술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정교한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보틱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헌신했던 레너드 컬렌드를 만났을 때 들은 말을 회상하는
부분
이 있다. 당시 레너드는 “누가 밝혀내든 관계없네”며 “난 그저 그때까지 살아있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지만 ‘그때까지 살아있지 못하고’ 2001년 79세에 타계했다. 컬렌드의 연구를 바탕으로 콕스가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