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스페셜
"
에너지
"(으)로 총 1,79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관측함으로써 전자-양전자 쌍의 소멸 빈도를 추정한다. 즉 전자의 질량에 해당하는
에너지
를 갖는 감마선(0.511MeV(메가전자볼트))의 피크를 보고 양전자의 개수를 추정할 수 있다. 1970년대 이미 이런 측정이 이뤄졌고 그 결과 우리 은하에서만 이런 엄청난 숫자의 양전자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포획된 전자의 개수도 늘어난다. 이 물질을 500도가 넘는 고온에 두면 포획된 전자가
에너지
를 얻어 탈출하면서 빛을 낸다(열발광). 이때 빛의 세기를 측정해 시료의 연대를 추측한다. 불에 탄 부싯돌이 좋은 시료인 이유는 불의 열기로 결정 결함에 잡혀있던 전자가 다 빠져나가 ‘영점조절’이 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모른다. 폰처 교수는 “
에너지
는 생물학의 모든 영역에서 핵심”이라며 “삶은
에너지
를 자손들에게 전환하는 게임으로, 생물의 모든 특성은 칼로리를 소모할 때 얻는 대가를 최대화하기 위해 자연선택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 식욕 조절이 관건 운동이 살 빼는데 별 효과가 없다는 사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떠올려 보라. 반면 목재는 나무를 베어다 적당한 크기로 잘라 붙여 CLT를 만들면 되므로
에너지
가 훨씬 덜 들어간다. 목조 건물 자재를 준비하는데 들어가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같은 크기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12%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2014년 캐나다 노던브리티시컬럼비아대에 지은 30미터 높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때문이다. 물론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인들의 불만도 상당하기 때문에 중국 정부도 대체
에너지
개발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지만(조만간 독일을 제치고 태양광 발전 1위가 될 전망이다) 편리한 삶에 대한 욕구도 워낙 커 앞으로 미세먼지 배출이 늘지만 않아도 다행일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존재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겉으로 보기엔 별개인 단층이 어떻게 연결돼
에너지
를 주고받는지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결과 조류(algae)와 식물이 나왔다. 한편 이들 세 그룹의 산소호흡, 즉 당을 산소로 산화해
에너지
를 얻는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자 각자 계열이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즉 산소호흡은 세 그룹이 나뉜 뒤 독자적으로 진화했다는 말이다(역시 유전자수평이동을 통해 관련 유전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그래서 토양도 점점 더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고 합니다. 토마스 크로서 미국 예일대 기후
에너지
연구소 박사는 지난해 12월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땅 속 탄소 배출량 증가는 이미 시작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연구는 미국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신속히 떨어지지 않으면 대사율이 올라가지 않아 체온이 빨리 회복이 되지 않고 그만큼
에너지
를 덜 쓰게 돼 비만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몸이 찬 사람은 살찔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우리딘은 앞에 소개한 리포칼린2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 잘 알려진 분자다. RNA의 네 염기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것으로 기대한다. 사업단은 지난 11월에 ECR-IS에서 인출된 산소 빔을 최초 가속구간인 저
에너지
가속구간의 상전도 가속관(RFQ)에서 가속하는 데 성공했다. - IBS 제공 3명의 연구위원은 중이온가속기 건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몇 가지의 아쉬운 점도 털어놨다.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