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스페셜
"
편
"(으)로 총 1,49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전북대 이중희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6.13
이 교수는 최근 3년 동안에 67
편
의 SCI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중 상위 10% 학술지에 44
편
의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특히 복합재료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인용지수※ 5.0 이상인 저널 Progress in Polymer Science,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arbon,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등에 20
편
이상의 논문을 ... ...
올해 250주년 맞은 베이즈 정리, 과학을 정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차가 1번에 있다면 진행자는 2번이나 3번 문을 열 수 있다. 따라서 P(O3|C1)는 2분의 1이다. 한
편
참가자의 관점에서 자기가 1번 방을 선택했기 때문에 진행자는 2번이나 3번 문을 열 수 밖에 없으므로 P(O3) 역시 2분의 1이다. 이제 진행자가 3번 방을 열었을 때(O3) 2번 방에 스포츠카가 있을 확률을 ... ...
[연구실탐방] ComSto 연구실 특명! error를 줄여라!
KAIST
l
2013.06.10
무척이나 다양해 선택의 여지가 많고 응용을 중시하는 전기및전자공학과가 맞았다. 한
편
으론 실험보다는 이론 전개를 좋아했고 디테일하게 그리는 것보다는 큰 그림 아래서 많은 것들을 생각하고 단계적으로 해결해나가는 것을 좋아했는데 이또한 가능성이 많아 보였다. 나의 여러 아이디어들을 ... ...
신기술 창업의 성공 요인 분석
KOITA
l
2013.05.30
건전한 자금사정, 높은 인지도와 높은 수준의 관심도와 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 신기술창업 기업의 성공요인으로 기술(Technology)과 마케팅(Marketing)이라는 양 요소에 대한 시너지를 강조하는 견해도 있다. 국내기업의 경우 기술적 한계를 넘는 창업기업은 약 90%지만 마지막 단계인 ... ...
"법에 매달리다 보니 배아줄기세포 연구 뒤쳐지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연구는 임상시험심사위원회만 통과하면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연구에 걸림돌이 적은
편
이다. “연구자가 하고자 하는 연구 내용이 법 조항에 없으면 심의 자체가 안된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배아줄기세포 연구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는거죠. 절대 하면 안되는 것들에 대한 기준만 ... ...
원자력의 전망이 어둡다고요?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KAIST
l
2013.05.28
연구들은 대부분 중장기 과제이기 때문에 팀별 연구와 동시에 개인 연구 진행도 수월한
편
이에요. 여기서 중요한 것이 개인 의지입니다. 연구원에서는 개인 연구를 포기하고 팀별 연구만 수행해도 특별한 불이익이 없어요. 하지만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논문 발표를 0순위로 여길 만큼 개인 연구의 ... ...
2020년 융합신산업 핵심은 ‘나노기술(NT)’
동아사이언스
l
2013.05.23
시리즈의 내용은 국가 과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편
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인터넷 과학포털(www.dongascience.com)은 대한민국 나노기술계를 지원하는 ‘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나노人’을 정기 연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에 ... ...
'원자력및양자공학과’가 궁금하다
KAIST
l
2013.05.23
가장 큰 특색은‘ 가족 같은 분위기’다. 임만성 학과장은“ 학과 재학생 수가 적은
편
이라 교수와 학생, 그리고 직원들까지도 서로 귀히 여기고 아낍니다. 또한 매년 봄 교내에서 열리는 체육대회를 통해 서로 힘을 합치는 과정들이 고스란히 팀플레이 연구로 이어져 더욱 돈독한 관계가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해석은 과장? 그런데 ‘미국립과학회보(PNAS)’ 4월 2일자에 무척 흥미로운 글이 한
편
실렸다. 캐나다 댈하우지대 생화학-분자생물학과 포드 두리틀 교수가 기고한 비평으로 글 제목이 거의 기사 제목 수준이다. ‘정크DNA는 터무니없는 말인가? 엔코드 비판(Is junk DNA bunk? A critique of ENCODE)’.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5월 수상자 서울대 강병남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수치화해서 볼 수 있어 객관적인 업적 평가가 가능함)가 29(29회 이상 피인용된 논문이 29
편
임)에 달하는 등 통계물리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물로 인정받고 있다. 강 교수는 “복잡계 네트워크 분야는 통계물리를 기반으로 탄생된 대표적 융합학문으로 경쟁이 치열한 연구분야이지만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