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특히 다른 뉴런과 전기화학신호를 주고받는 부위인 수상돌기가 제대로 작동하는 모습을
확인
했다. 쥐에게 시각 자극을 주면 새로 생긴 뉴런이 반응해 수상돌기에서 신호를 만들었다. 그동안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처럼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병에 걸리면 딱히 복구할 방법이 없었다. 이번 ... ...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2016.11.13
때 촉각을 처리하는 뇌 영역인 ‘체지각 대뇌피질(somatosensory cortex)’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
했다. 연구팀이 이 사실을 이용해 반대로 전류를 체지각 대뇌피질에 흘려 넣었다. 그러자 쥐는 등과 배를 간지럽혔을 때와 똑같은 반응을 보였다. 마이클 교수는 “간지럼은 뇌가 즐겁게 장난을 치거나 ... ...
동물병원에서 예방접종을 너무 많이 권합니다. 전부 다 해야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1.13
저렴하게 예방접종을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다니는 병원이 국가 지원을 받는 병원인지
확인
해보세요. 게다가 실외에서 살고, 주말이면 산에서 뛰어놀면서 온몸에 진드기를 잔뜩 달고 오기 때문에 사상충약과 외부기생충 약도 잊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지요. 저는 그렇게 하기로 ‘선택’한 겁니다. ... ...
모기 잡는 구피? 천만의 말씀!
2016.11.12
그 결과, 구피가 모기가 아닌 다른 종을 위협하는 침입 종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
했습니다. 결국 구피는 모기로 인한 전염병의 확산을 막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없다는 말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사람들은 오랜 시간 동안 모기의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호수나 ... ...
[저격! 인터넷 신조어] 비겁하게 팩트로 승부하다니
2016.11.11
보는 사람들도 숨어 있기 마련이다. 이런 사람들에게 인터넷은 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확인
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된다. 게시판 논쟁에서 이들의 한마디 한마디는 묵직한 팩트 폭력이 된다. 이러한 팩트 폭력에는 더욱 강도 높은 날조와 선동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 인터넷 용어가 ... ...
삼성 스마트워치 '기어S3' 11일 국내 정식 출시
포커스뉴스
l
2016.11.11
삼성전자는 BMW와 협업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외부에서 자동차의 연료상태를
확인
하고, 온도 조절 등 원격으로 작동할 수 있게 했다. 기어 S3 프론티어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주는 소재 특유의 특성을 살려 몸체를 구성했고 타원형의 버튼의 손이 닫는 부분은 폴리 우레탄으로 마감했다. 시계줄은 ... ...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11.11
알 수 있다. 애플게이트 교수는 “대장균이 번식하기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빠르게
확인
할 수 있다”며 “위장염 등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처럼 다른 병원균을 검출할 때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구글 AI "다음 목표는 스타크래프트2"
2016.11.11
전장에서 자신의 진영 외에 다른 곳은 볼 수 없다. 실제 전쟁처럼 정찰병을 보내 정보를
확인
해야 한다. 뛰어난 게이머는 거짓 정보를 보여주며 상대를 속이기도 한다. 바둑보다 심리전이 한층 중요하다는 말이다. 심리전이 중요한 포커게임은 이미 인공지능이 도입돼 있다. 지난해 미국 ... ...
곤충로봇 이용해 나방 날갯짓의 비밀 풀었다
2016.11.10
그 위로 소용돌이가 발생할 때 로봇에 가해지는 양력이 2배 가까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
됐다. 또 이 소용돌이가 안정적으로 생겨날수록 로봇의 최대 비행속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장 교수는 “곤충의 비행속도는 보통 날갯짓 속도의 약 25%인데, 그 이유를 이번에 처음 밝혀낸 것”이라고 ... ...
잠 못자면 암 발병률 높아지는 원인 밝혀졌다
2016.11.10
p53의 양이 적어지고, 세포핵에서는 Period2의 양이 많아질수록 p53의 양도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
했다. 생체시계에 문제가 생겨 Period2의 단백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암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그간 항암제들이 투약 시간에 따라 치료 효과가 달라졌던 원인 역시 이번 연구성과로 ... ...
이전
1448
1449
1450
1451
1452
1453
1454
1455
14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