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행
한 무리
초단
일대
일동
동아리
조
d라이브러리
"
일단
"(으)로 총 2,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05
피아식별장치에 의해 각 항공기가 보내는 식별신호를 판독함으로써 자동으로 인식한다.
일단
적으로 판명되면 아군 전투기에게 최적의 공격지점을 찾도록 전파로 진로를 인도한다.기본적인 항법 장치 외에 조기 경보기가 가진 또 다른 기능은 IBM사가 개발한 군사용 지휘통제 컴퓨터. 데이터를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05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생후 30개월이 지난 4백만 마리의 소를 도살하기로 결정했다.
일단
발병하면 죽기만을 바래야 하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의 원인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세계적으로 그 파장이 확산되고 있는 광우병이란 어떤 것인지 알아보자.지난 3월 20일 "광우병에 걸린 소를 먹으면 ... ...
1. 음식 : 유아·아동기 태아부터 4세까지 DHA 아라키도닉산 공급 필수
과학동아
l
199605
급격히 형성되므로 이시기에 DNA와 같은 필수지방산의 공급은 필수적이다. 뇌세포는
일단
세포 분열이 끝나면 재생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시기의 충분한 영양 공급은 한 생명이 갖는 평생의 잠재능력을 결정해 주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뇌기능 발달 돕는 필수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
과학동아
l
199605
셋째는 '잠정적 유보형'. 결혼할 생각이 있지만 가족, 금전 등 당장의 어떤 이유 때문에
일단
미뤄둔 경우다. 이들은 항상 무척 바쁘며 비슷한 나이의 동료에 비해 많은 것을 성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기중심적 사고가 강해 남과 잘 상의하지 않는다. 또한 늘 불안해 하거나 잠을 못자고 항상 쫓기는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04
해서 모두가 다 새로운 원소가 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검증단계를 거쳐야 한다.
일단
새원소가 만들어지면 같은 방법으로 여러번 실험을 해서 똑같은 결과가 나와야 한다. 그리고 이미 예측된 대로 붕괴가 돼야 새원소로 확정된다. ' 마법의 원소를 찾아서현재 가장 무거운 원소인 1백12번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04
세로토닌의 재섭취만을 억제해 뇌속의 세로토닌 농도를 높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단
개발 가능성이 보이자 릴리는 1백명의 연구원을 할당해 좀 더 나은 물질은 없는지. 더 확실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실험에 착수했다. 1973년 초의 일이다.1976년까지 수집한 자료에서는 이 물질이 적어도 ... ...
행글라이딩, 패러글라이딩
과학동아
l
199604
활공 장소의 경사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 바람이 전혀 불지 않는 곳이라도
일단
글라이더를 매고 초당 9m 정도의 속도로만 달려주면 이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15-45도 정도의 경사지를 최적으로 꼽힌다.
일단
공중에 떠오른 행글라이더의 비행속도는 '대기속도'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04
때 ISO400이나 ISO600과 같이 감도가 높은 필름을 쓰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초점 잘 맞추면
일단
A학점선명한 사진은 초점을 잘 맞출 때 얻어진다. 필름이 있는 곳이 바로 초점면으로 이곳에 렌즈를 통과한 빛을 정확하게 모으는 것이 렌즈가 하는 일이다. 초점의 위치는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까지의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04
가장 초보단계로 알려져 있는 고정촬영으로도 햐쿠다케혜성의 모습을 기록할 수 있다.
일단
기본장비로 삼각대와 카메라를 준비한다. 카메라는 B셔터가 가능한 것이면 된다. 필름은 최소한 필름감도(ISO) 400은 돼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를 혜성 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 셔터를 누르면 된다. 노출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04
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잘 알고 있다면 다음 문제를 생각해 보자. 해설을 먼저 보지 말고
일단
문제를 읽은 뒤 책을 덮고 스스로 생각해 보자 .해설은 그저 자신의 생각을 확인하는 데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사과 두개 중에 어느 것이 더 무거운지 양손에 들어봐서 잘 모를 때, 몇번 위아래로 들었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