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국어
지나
중국인
d라이브러리
"
중국말
"(으)로 총 1,46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의 노벨과학상 8명의 과학자가 영예차지
과학동아
l
198611
노벨상의 역사는 바로 현대 과학의 역사. 과학자라면 누구나 필생의 목표로 삼을만한 노벨상 금년도 수상자의 업적과 면모를 알아본다. 자연과학부문 86년도 노벨상 수상자가 지난 10월에 발표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는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 있는 ‘밴더빌트’의과대학의 ... ...
동의보감 편찬한 의성(醫聖) 허준(許浚)
과학동아
l
198611
선조와 광해군 때의 대표적 의사 허준(1546-1615). 그는 동방의학의 백과사전격인 동의보감을 편찬하여 한의학이 중국의학에서 벗어나 민족의학으로 자리잡는 기틀을 마련했다.한국 사람이 쓴 책으로 중국과 일본에서까지 널리 읽히는 것은 무엇일까? 허준(許浚 : 1546~1615)의 ‘동의보감’(東醫宝鑑)이 ... ...
지리산
과학동아
l
198611
중생대(2억 2천 5백만년전~6천 5백만년전)의 초기와 중기에 걸쳐 격렬한 지각운동과 변성작용이 일어났는데, 이때 지리산이 솟아올랐다. 지리산(智異山)은 소백산맥의 남부에 높이 솟아 있는 고원지대로서 그 주봉인 천왕봉은 해발 1천9백15m로 한라산 다음 가는 남한 제2의 고산이며 둘레가 7백리이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10
백두산 일대는 새들의 낙원으로 남한지역에서는 희귀한 새들도 고준지대에 드물지 않게 살고 있다 동북아지역의 대표적인 새들의 낙원백두산 북위 41˚58'~42˚06', 동경127˚56'~128˚06'에 자리하며 중공령 최고봉인 백운봉(白雲峰)은 표고 2천6백91m이며 북한에 위치한 최고봉, 장군봉(將軍峰)은 2천7백49m ... ...
별보는 요령
과학동아
l
198608
바캉스의 계절이 왔다. 학생들은 여름방학, 직장인들은 여름휴가의 최대활용을 위해 산으로 바다로, 그간에 쌓인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달릴 것이다.도시의 탁한 공기와 등불을 피해, 해변가 또는 산 깊이 흐르는 청류(淸流) 옆 풀밭에 누위 쳐다 보는 낮 하늘.그리고 밤이 되면 또다른 하늘을 쳐다 ... ...
콩나물의 식품공해
과학동아
l
198608
콩나물하면 한국적 체취가 앞선다. 김치와 더불어 콩나물은 우리 고유의 식품인데, 김치가 채소의 가장 합리적인 저장형식의 식품이라면 콩나물은 가장 과학적인 재배방법을 응용한 채소라고 말할 수 있다.김치와 짝이 된 식품 근년에 와서 인스턴트 식품이 범람하여 김치 통조림이 나오고 있지 ... ...
미생물
과학동아
l
198607
고대문명과 함께 싹튼 미생물 이용의 역사. 그러나 그 존재가 밝혀진 것은 불과 3백년 전이다. 유전공학의 대두와 함께 산업 미생물은 만능일꾼으로서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인간이 미생물을 식료품 가공에 이용한 역사는 신석기 시대로 생각되고 있다. 양조식품에는 곰팡이 효모 등을 이용했고 오 ... ...
바다로 흘러간 유용광물 회수해야
과학동아
l
198605
바다밑의 표사광상에 광물자원이 쌓여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황해·남해 외에 동해의 퇴적분지도 석유부존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는 역사시대를 통하여 금은보화가 가득한 동방의 이상향으로 중국과 서양에 알려져 왔다. 실제로 신라를 비롯한 삼국시대의 찬란한 금관문화는 한반도에 금이 많았 ... ...
특산식물과 사라져가는 희귀식물들
과학동아
l
198604
전세계에 1속1종뿐인 특산식물은 미선나무. 문주란은 제주도의 토끼섬이 북방한계선중국과 관련깊은 한국의 특산식물 지구상의 식물중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식물을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이라도 한다. 특산식물 중에서도 매화말발도리처럼 거의 전국에 퍼져 있는 종류가 있는가 하면, 함양 ... ...
금수강산을 수놓는 식물들의 세계
과학동아
l
198604
아한대에서 난온대까지 다양하게 분포 4천여종이 넘는 식물의 부자나라다양한 한반도의 식물분포금수강산은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에서 비롯된 자랑스런 말이다. 산과 강 바위와 나무 꽃들이 마치 수를 놓은듯이 화려하다는 이 말은 결코 틀린 게 아니다. 특히 갖가지 나무와 꽃 풀이 어우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