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50년, 과학을 사회에 돌려주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무엇일지 상상해 봤다. KAIST를 보도한 역대 과학동아 기사를 통해 그 안에 비친 국내 과학기술의 역사도 함께 들여다 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KAIST 50년, 과학을 사회에 돌려주다 Intro.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PART 1. KAIST 탐구보고서...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PART 2. 과학동아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홍릉에서 개원했지만 당시엔 대학원 과정만 있었다. 현재의 KAIST 학부 과정이 된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은 1986년 대전에서 처음 입학생을 받았다. 같은 장소에서 캠퍼스를 경험한 두 ‘새내기’의 기억을 비교하기 위해 50년 전이 아닌 1986년 첫 학부 과정을 경험한 새내기의 추억을 재구성했다. -8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연구팀은 AI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심층신경망(DNN) 기술을 이용해 이 같은 사실을 한 번 더 입증했다. 연구팀은 유튜브에 올라와 있는 144개국의 600만 개 동영상을 분석해 전 세계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16가지 보편적인 표정을 짓는다는 연구결과를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독보적인 특허를 여러 건 보유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기술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남즈는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음성인식 시스템을 개발했고, 공항철도의 음성인식 자동발매기 개발에도 참여했습니다. 자동발매기에 도착역과 인원을 말하면 기계가 음성을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튼튼하면 어느 분야든 뛰어들 수 있습니다. 쯔엉 민 인터넷만 보더라도 배울 수 있는 기술이나 알고리듬은 많아요. 하지만 그것을 아는 것과 이해해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다릅니다. 그래서 ‘왜?’라는 질문을 계속해서 던지고 깊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건 왜 그럴까?’라는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사육하는 양돈과 닭, 오리를 기르는 양계장에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이 이용된 ICT 기술을 적용하는 추세다. 데이터를 이용한 AI 분석은 가축 관리뿐만 아니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감염병이 퍼졌을 때 살처분 범위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분뇨 악취 해결 방법도 ... ...
- 위기까지 남은 온도 0. 4℃...신 기후체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Part 2. 남은 0.4℃를 지켜라, 탄소 잡는 기술 TOP3[인포그래픽] 기후변화 막는 탄소 기술, 무엇이 있나Part 3.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Part 4. 미래에서 온 ... ...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산화탄소를 칼슘, 마그네슘 등 금속산화물과 반응시켜 탄산염광물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도 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 상용화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03예측하고 적응하고…피할 수 없다면 대비하라기후변화는 현재 진행중이다. 지금도 많은 국가와 도시가 기후변화에 따른 ...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과학동아 l2021년 01호
- 6G 비전 강연에서 “2030년 이후에는 현재 미래 기술로 불리는 6G 통신과 한 단계 발전한 AI 기술로 실시간 위치측정에 기반한 서비스 산업이 보편화할 것”이라며 “그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학계와 업체가 향후 10년간 상호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영어 실력은?‘과학을 한다’는 활동은 영어를 비롯해 수학이나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우수한 한국인 과학자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은 영어를 꼭 같이 공부해야만 합니다. 영어 논문을 읽고 쓰거나, 영어로 대화하는 과학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