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재미와 진지함을 동시에 추구하는 개그맨이자 교수 이윤석.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그는 ‘웃음의 과학’에 이어 행복도 과학적으로 풀어보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책을 써보니 과학 교양서가 예능과 닮았다는 사실을 새로 알았습니다. 예능이 재미뿐 아니라 진정성을 ... ...
멸종된 토종여우 만나는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지만 지난 2004년 3월 강원 양구군 동면 덕곡리 야산에서 죽은 수컷 여우 한
마리
가 발견된 것을 마지막으로 아무도 저를 보지 못했지요. 과학자들은 제가 멸종됐다고 말하더군요.어쩌다가 멸종이 된 건가요?1960년대 쥐잡기 운동 때 쥐약을 먹고 죽은 쥐를 먹어서 많이 죽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제 ... ...
구석구석! 동물 몸속 대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레서팬더 등은 세계자연보호연맹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종이랍니다. 이제 두
마리
밖에 남지 않은 자이언트양쯔자라의 표본도 있어요.근육에서 내장까지 훤히 들여다보자!와! 진짜 동물이란 말이지? 그럼 직접 만나 보물이 무엇인지 물어봐야겠군. 그럼 하나씩 자세히 살펴볼까? 잠깐! 파충류 표본을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성공하기 쉽진 않을 거야. 마찬가지로 양쪽의 개구리가 1
마리
나 2
마리
일 때 또는 양쪽의 수가 다를 때는 어떤지도 직접 해 봐. 게임의 규칙성을 찾다 보면 논리력을 키우는 것은 물론 개구리를 옮기는 횟수를 나타내는 식도 세울 수 있을 거야. ‘제 점수는요’ 게임으로 음수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돼지는 990만여
마리
가운데 21%인 206만여
마리
가 매몰됐다. 다섯
마리
가운데 한
마리
꼴이다. 다행히 전남과 제주는 아직 구제역이 침투하지 않았고 전북은 돼지농장 2곳, 경남도 돼지농장 한 곳만 구제역이 확인됐다. 우리나라 축산업의 붕괴를 막기 위해 정부는 현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올랐고 영국은 물론 세계적인 유명인사가 됐다. 1998년 4월 2일 그는 12살 연하인 벨기에의
마리
-에스메랄다 공주와 결혼함으로써 또 다시 주목받았다. 중미 출신의 과학자가 유럽 왕족과 결혼한다는 건 센세이션이었다.그러나 놀라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이해 10월 노벨위원회는 일산화질소가 ...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일본의 신비한 지질에 대해 잘 보았나요? 이밖에도 일본에는 바로 눈앞에서 1200
마리
의 사슴을 볼 수 있는 사슴공원이나, 나라국립박물관 등 볼거리가 가득해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지질박물관으로 불리는 일본을 꼭 한 번 경험해 보세요! 사요나라~!(안녕~!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감싸고 있다. 공 모양인 바이러스 입자의 지름은 25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크기로 3000
마리
를 나란히 놓아야 머리카락 한 가닥의 지름이 된다.바이러스가 살아 있느냐 여부는 단백질에 둘러싸여 있는 게놈이 온전하게 보존돼 있느냐에 달려 있다. 또 숙주(바이러스가 침투해 번식하는 생명체) 세포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올해부터 과학고 교과과정이 달라진다. 영재고와 마찬가지로 선택적 수강과 대학과정의 선이수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변화는 많은 과학 영재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과학고 입시전략에도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해졌다. 지난해 새롭게 실시된 자기주도학습전형과 과학창의성전형의 평가요소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일본 오사카대학교 생명공학대학원의 야기 다케시 교수팀이 새처럼 노래하는 쥐 100
마리
를 만들었답니다.연구팀은 ‘진화 쥐 프로젝트’ 실험의 하나로, 일부러 쥐가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교배시켜 어떤 특성을 가진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