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환
교환
전향
전도
변경
전화
d라이브러리
"
전환
"(으)로 총 1,626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른 목자의 카우 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반대가 심했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는지도 모르겠다.내가 수의학에서 축산학으로 방향
전환
을 하게 된 결정적인 동기는 건국대학교 축산학과에 대한 짤막한 안내서를 읽고 나서부터였다. 이왕 동물학을 할 바에는 응용과학 쪽으로 해봐야 되겠다는 결심을 굳혀버린 것이다. 그 뒤로는 국·영·수는 ... ...
펭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그러나 한번 물에 들어가면 바다표범이나 돌고래에 못지 않게 빠른 속도로 돌진하고 방향
전환
도 자유자재로 기민하게 하는 수영선수다. 원래 펭귄의 날개는 진화과정에서 굳어져 팔꿈치 부분에 달린 납작한 노처럼 변했다. 그러나 이 노로 헤어칠 때의 속도는 시속 40km에 달한다. 때로는 먹이를 ... ...
녹색 식물의 탄생 How Green Plants Began?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세포에서 출발했다는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특히 엽록체는 햇볕을 에너지로
전환
시키던 박테리아 세포였었다고 생각한다. 이런 유기체들은 오늘날에도 존재하는데 이는 '시아노박테리아'라고 불리운다.다만 한가지점에서 시아노박테리아와 엽록체는 다르다. 녹색식물의 엽록체는 햇볕의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돌을 연구하여 얻은 '선물'이라고 하겠다.실제로 압전체가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커다란
전환
점을 이룬 것은 세라믹스 압전체가 개발된 후였다. 세라믹스란 단결정의 집합체를 말하는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값이 저렴하다. 따라서 최근에 사용되는 압전체의 대부분이 세라믹스 압전체이다.압전 ... ...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틀이 짜여진 사회에서야 그런 일이 있을 수 없지만 한국같이 젊은 사회에서는 그러한
전환
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단다. 우리가 늘상 반만년의 역사를 이야기하지만 현재의 한국 사회는 나나 나의 동료의 예로 보면 아직도 불확실한, 젊은 사회이다. 그것이 좋은 의미에서든 나쁜 의미에서든.내가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과학기술체제는 8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
전환
점을 맞았다. 1982년에 발표된 ‘경제발전은 과학기술에 의하지 않고는 이룰수 없다. 그리고 과학기술은 경제발전에 봉사하지않으면 안된다’고한 중앙의 방침과 1985년의 ‘과학기술체제 개혁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의 결정’에 따라 과학기술연구를 ... ...
국내에 암약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익혔고 처음에는 컴퓨터 수리를 전문으로 하다가 85년경부터 프로그래머로 직업을
전환
하였다. 하지만 자기의 프로그램이 함부로 불법복제가 되어서 유통되는 것을 안 앰자드는 이때부터 불법복제를 발견하고 이를 처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고 한다. 파키스탄에서는 아직 프로그램에 ... ...
찾아낸다면 엄청남 기술적·경제적 이익 얻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옮기는 데에도 2천톤의 로켓연료를 소모한다.달의 물은 또 액체수소나 액체 산소로
전환
시킬 수 있는데 이 두가지는 가장 좋은 로켓 추진제로 쓰이는 것이다. 그렇다면 달은 중력이 약해 우주선을 띄우는 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연료까지 공급할 수 있어 인류가 꿈꾸는‘이상적인 ... ...
잘못 알고 있는 과학지식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대신 상대성을 주장함으로써 물리학은 물론 과학의 전반에 걸친 과학적 사상의 대
전환
을 초래한 사실 등이 이것을 잘 반영한다.결론적으로 말해서 과학이란 고정관념 또는 상식적인 지식을 과감히 벗어날 수 있는 용기와 창의적 또는 독창적 사고를 가진 과학자들에 의해서 발달한다 ... ...
배와 조선산업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2위권에 올라선 한국의 조선공업을 생각할 때 성장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단지 일대
전환
점에 직면하고 있을 뿐이다. 조선공업의 장래가 밝다는 근거로 PART I 에서는 새로운 분야, 즉 첨단선박들을 살펴보고 PART II 에서는 조선공학도가 보는 한국조선산업의 장래에 대해, 그리고 PART III에서는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