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뉴스
"
설계
"(으)로 총 4,55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안위, 한수원 고발..."고리2호기 안전성 보고서 1년 늦게 제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받은날부터 매 10년이 되는 날을 기준으로 1년 6개월 이내 제출, 계속운전을 하려는 경우
설계
수명기간 만료일 5년전~2년전 제출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원안위는 제118조 제2호 벌칙 사유에 해당한다며 300만원 이하의 벌금 조치와 함께 고발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날 김균태 위원은 ... ...
이종호 장관 “국가 바이오파운드리 구축하고 우주전문인력 3만명 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이내 두 자릿수로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선 백신과 신약의 신속한
설계
와 제작이 필요한데 이를 ‘국가 바이오 파운드리’로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바이오 파운드리는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I, 로봇 등을 합성생물학에 적용해 바이오 ... ...
코로나 변이 거듭될수록 효과 커지는 치료제 후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작용을 한다. 바이러스 진화를 역이용해 변이가 거듭될수록 더 우수한 효과를 내도록
설계
됐다. 연구팀은 향후 동물실험 등을 거쳐 코로나19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듭하며 감염력이 점점 증가하는 이유는 세포 표면 단백질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 ...
인간 피부보다 압력 잘 느끼는 로봇용 전자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목적에 맞춰 고감도 감지 모드와 광범위 압력 감지 모드를 손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
됐다. 압력 센서의 핵심 소재는 액체금속 중 하나인 갈륨이다. 갈륨은 금속이지만 녹는점이 미온(29.76도)이어서 고체와 액체 간 상태 변화가 가능하다. 연구팀은 내장된 갈륨 상태에 따라 센서 강성률이 ... ...
수명 넘긴 아리랑 위성...대체 위성은 발사 지연
동아사이언스
l
2022.10.23
전력분배장치 에러 1회를 포함해 총 7회의 에러가 발생했다. 위성의 임무수명은 위성의
설계
가 견딜 수 있는 한계와 임무 요건을 만족할 수 있는 운용 기간으로 설정돼 있다. 연료가 남은 경우·손상이 크지 않은 경우·이중 부품 체계가 적용된 경우 등에 따라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사업 추진위원회 ... ...
LG화학이 인수한 바이오기업 '아베오', 항암제에 '경쟁력'
동아사이언스
l
2022.10.22
항암제다. 3개의 VEGF를 겨냥해 강력하게 억제한 뒤 이를 감소하도록 하는 식으로
설계
됐다. 혈관 내피세포는 혈관 확장과 수축 등 혈관 항상성을 유지하는 조절역할을 도맡는다. 기능장애가 생기면 동맥벽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포티브다는 이 혈관 내피세포가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돕는 역할을 ... ...
"고리원전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85.9% 포화...한수원, 신설 지연"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있다. '고리원전본부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설치안'을 내부적으로 현재 검토 중이며
설계
2년, 인허가 2.5년, 건설 2.5년 등 총 7년이 소요될 예정이지만 이사회 안건에 상정조차 못한 상황이라는 게 박 의원의 지적이다. 2017년 영구정지된 고리1호기의 경우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을 찾지 못해 ... ...
英 억만장자 설립 버진오빗 “2024년 한국서 우주발사체 서비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입장에서 매우 호조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련 수요에 발 맞춰 발사체
설계
도 일부 변경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비비안 쿼넷 아리안스페이스 아세안사무소 전무 역시 “소형위성 발사 시장이 호황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하며 “아리안스페이스 역시 아리안 5에서 아리안 6으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기차 노면 소음·모터소음 동시 차단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메타패널은 저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에서 서로 다른 전략으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설계
됐다. 또 동일 성능을 갖는 기술에 비해 20배 이상 무게가 가볍게 제작됐다. 전 교수팀이 개발한 메타패널은 주파수 선택이 가능하고 제작이 쉬워 전기차뿐 아니라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등 다양한 미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재활용 플라스틱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만들 수 있는 미생물을 찾거나 대사회로를 재
설계
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이 보여줬듯이 상황이 절박하다고 느끼면 인류는 놀라운 실행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곤 한다. 지구촌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역시 코로나19 수준의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