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뉴스
"
지면
"(으)로 총 1,662건 검색되었습니다.
닭은 왜 가축이 되었나
2015.09.16
오늘날 닭의 조상으로 꼽히는 야생닭 적색야계. - 린코핑대 제공 소, 말, 닭 등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축이다. 인간이 가축을 길들이기 시작한 건 약 8000년 전부터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당시 인간은 무수한 동물 중 왜 이 같은 동물을 골라 가축으로 길들이기 시작했을까. 페르 젠 ... ...
[수학교육 논쟁] 수학을 제대로 가르치자
2015.09.16
사교육이 오히려 성행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이는 기우에 불과하다. 수학이 쉬워
지면
일단 중학교 이하의 선행 사교육이 대폭 줄어들 것이다. 지금 사교육의 최정점은 중학생들이 고등학교 수학 선행학습이다. 이것이 비정상이기 때문에 당장 줄여야 하며, 쉬워지는 수학 시험에 대한 영향력 ... ...
하루종일 안개낀 듯 뿌연 시야, 老眼이 아니라 백내장입니다
동아일보
l
2015.09.09
나이가 들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불편이 초래되고, 증상이 심해
지면
녹내장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한다. 가장 보편적인 백내장 치료 방법은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대체하는 것이다. 각막 또는 공막을 2.2∼3mm 정도 절개하고 ... ...
식물이 가뭄을 버티는 비법 찾았다
2015.09.08
시들 수 있다. 연구팀은 ‘유카(YUCCA)’라는 단백질이 식물 내에 대량으로 만들어
지면
체내에서 활성산소가 많이 나와도 죽지 않고 잘 버틸 수 있다는 데 주목했다. 지금까지 이 단백질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관여하는 호르몬을 합성하거나 조절하는 기능만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유카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벗어나도 그렇게 흐리지 않으면 ‘심도가 깊다’고 말하고 조금만 벗어나도 흐릿해
지면
‘심도가 얕다’고 표현한다. 인물 클로즈업 사진을 보면 배경이 흐릿하게 처리된 심도가 얕은 사진이 많다. 카메라에서 심도를 조절하는 부분이 바로 눈동자에 해당하는 조리개다. 즉 조리개를 많이 열어 ... ...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09.01
그래서 쾌락을 참기가 비교적 어렵다. 또 감수성이 예민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한번 빠
지면
의존하는 정도도 성인에 비해 클 수밖에 없다. 김영보 박사는 “한번 중독 중추가 활성화된 뇌는 계속 비슷한 자극을 요구한다”면서 “또 다른 대상에 중독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호주 모나시대 ... ...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 지방
과학동아
l
2015.08.31
과도하게 늘렸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도 문제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UCP-1이 많아
지면
체온이 올라가고 땀이 많이 나며 호흡이 가빠질 수 있다. UCP-1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화학물질인 DNP(디니트로페놀)는 이런 부작용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금지된 약품이다. 지난 5월엔 DNP를 과도하게 복용한 ... ...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GLK2 단백질이 억제되면 광합성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며 “당과 영양성분의 함량이 적어
지면
토마토의 풍미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인 방법은? 빨갛게 익은 겉모습에만 현혹돼지 말아야 겠다. ... ...
조기 진단 어려운 희귀질환… 치료 늦어
지면
장애로 이어져
동아일보
l
2015.08.19
이렇게 신경 손상이 계속 쌓이게 되면 결국 장애로 이어진다. 당연히 진단과 치료가 늦어
지면
장애의 정도도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재발은 중추신경계 어떤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애도 다양해진다. 시간이 지날수록 장애가 남는 범위도 넓어진다. 김호진 교수는 “확진을 받는 데 ... ...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사실도 밝혔다. 데베네데티 교수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육면체 형태의 얼음이 많아
지면
서로 뭉치려는 힘이 강해 구에 가까운 모양이 만들어져 안정적인 상태의 얼음이 형성된다”며 “이번 연구는 실험수준에서 예측됐던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얼음의 임계핵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