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스페셜
"
날
"(으)로 총 1,4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수중탐사는 언제 시작됐을까?
KISTI
l
2013.06.05
매력에 빠진다. 1936년 자동차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을 때도 돌고래처럼 헤엄칠
날
을 고대하며 꾸준히 재활치료에 임했고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고난과 장애물에도 굴복하지 않는 쿠스토의 끈기와 열정은 잠수장비 개발에서 빛을 발했다. 기존의 장비를 시험하고 개량하다 여러 번 목숨을 ... ...
[채널A] ‘식중독’ 잡는 은나노 개발…입자 구조 바꿔 큰 효과
채널A
l
2013.06.04
[앵커멘트] 요즘처럼
날
이 더울 땐 식중독을 특히 조심하셔야 합니다. 식중독의 주범은 대장균과 노로 바이러슨데요. 국내 연구진이 이 둘을 백% 가까이 제거하는 은나노 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잡니다. [리포트] 여름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박테리아인 ... ...
구리 vs 구리
KOITA
l
2013.05.30
펑펑 내리던 12월 중순의 어느
날
이었습니다. 자동차 충전기 부품의 한 종류였는데 알루미늄 막대의 한쪽 끝에 조그만 크기의 다른 알루미늄 막대를 다른 끝에는 구리 막대를 단단히 붙게 하는 신기술 연구에 한창 고민이 많았습니다. 기존에는 세 조각의 비철금속 막대를 용접해서 일체화시켰지만,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
KOITA
l
2013.05.28
개발하고 특허 냈다. 이러한 기술들도 언젠가는 실용화되어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날
이 올지 모른다. 문제는, 개인의 감정이나 사고를 예측하려는 수준에 이르면 인권에 대한 논쟁이 훨씬 격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어쩌면 기술 입장에서는 억울할 수 있는 일이다. 기술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이를 ... ...
세계 원자력 R&D를 선도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KAIST
l
2013.05.27
%를 차지하고 석유 에너지를 대체할 최선의 에너지라는 선한 얼굴도 갖고 있다. 이렇게 양
날
의 검으로 평가받는 원자력을 인류가 이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하는 곳이 바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다. 한국의 원자력 발전은 우리가 책임진다 ... ...
흡연자, 폐암 알아도 만성폐쇄성폐질환 모른다?
KISTI
l
2013.05.27
월 31일은 세계금연의
날
이다. 담배가 우리 몸에 백해무익한 존재라는 것은 이미 수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때문에 많은 흡연자들은 ‘올해는 기필코…’라며 금연을 다짐하지만, 결국 작심삼일로 끝나버리는 일이 허다하다. 흡연자들이 담배를 끊지 못하고 피우면서도 두려워하는 ... ...
[채널A] ‘치사율 50%’ 패혈증 치료제 개발 첫발
채널A
l
2013.05.22
요즘처럼
날
씨가 무더우면 세균이 기승을 부립니다. 특히 오염된 물고기나 조개를
날
것으로 먹으면 치명적인 패혈증에 걸릴 수 있는데요. 우리 나라 연구진이 그 치료약 개발에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때 이른 더위에 벌써부터 전국이 초여름에 들어섰습니다. 수온이 18도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처음 게놈이 해독됐다). 당시 필자는 애기장대 게놈DB를 종종 들여다봤는데 어느
날
유전자를 검색하다가 문득 ‘사람 유전자를 연구했으면 화면이 많이 달랐겠다’는 생각을 했다. 즉 애기장대 게놈도 유전자가 띄엄띄엄 존재하지만 사람 게놈이었다면 그 빈도가 훨씬 희박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 ...
ETRI, 발명의
날
에 '대통령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포상함으로써 발명가와 과학기술인의 사기진작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된다. ETRI는 이
날
시상식에 ‘3D 가상수족관’을 전시, 일반에 선뵌다. * 위의 내용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보도자료입니다 ... ...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
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약 1만 년 전 지구상에서 목격된 뒤 영원히 사라져버린 거대한 포유동물, 매머드. 첨단과학의 힘으로 되살아
날
수 있을까? 다국적 군단의 최첨단 협력 한국의 ... 다르다. 이속(異屬) 간의 복제는 지금까지 성공한 적이 없다. 과연 매머드는 첨단과학의 힘으로 되살아
날
수 있을까?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